촌평
고병권 외 『리영희 프리즘』, 사계절 2010
‘사상의 은사’를 투과하는 무지갯빛 교양
정연주 鄭淵珠
언론인 yunjoo46@gmail.com
요즘 리영희(李泳禧) 선생님, 많이 편찮으시다. 육신의 큰 고통과 매일 힘겨운 싸움을 하고 계신다. 야만의 시대 군사정권에 의해 아홉번의 강제연행, 다섯번의 감방생활, 언론과 대학에서 각각 두번 강제해직된 그의 삶에서 보듯 역사와 시대의 무게, 아픔, 고난을 감당해온 그의 육신이 지금 큰 고통에 갇혀 있다.
비록 육신은 병마에 갇혀 있더라도 그의 사상은 세대를 뛰어넘어 자유롭게 활보한다. 이를 증명하듯 나온 책이 바로 『리영희 프리즘』이다. 생각하기(고병권), 책읽기(천정환), 전쟁(김동춘), 종교(이찬수), 영어공부(오길영), 지식인(이대근), 기자(안수찬), 사회과학(은수미), 청년세대(한윤형), 인터뷰(김현진)까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여러 세대의 필자들이 ‘리영희 경험’을 이야기하고, ‘리영희’를 분석하고, 그런 프리즘을 통해 각자의 주제와 관련된 이야기들을 풀어나간다.
90년대에 대학을 다닌 고병권은 “그가 훌륭한 ‘정보’나 ‘견해’를 들려주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우리를 ‘생각하게’ 했기 때문”(16면)에 ‘사상의 은사(恩師)’라는 이름이 리영희에게 주어졌다고 했다. 그러니까 야만의 시대가 강요한 ‘우상’과 ‘신화’에 맞서서 살아온 리영희의 구체적인 삶과 치열한 글은 우리를 ‘생각하게’ 만들고 그럼으로써 진정으로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해준 것이다. 고병권의 말을 빌리면 ‘우상’과 ‘신화’는 “생각 없음” “생각하지 못하게 함”인데, 리영희는 그것을 깨뜨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