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새로운 ‘나’의 탐구와 시간 경험

고형렬 시집 『김포 운호가든집에서』, 창작과비평사 2001

최정례 시집 『붉은 밭』, 창작과비평사 2001

반칠환 시집 『뜰채로 죽은 별을 건지는 사랑』, 시와시학사 2001

 

 

최현식 崔賢植

문학평론가, 연세대 강사. 주요 평론으로 「꽃의 의미─김수영 시에서의 미와 진리」 등이 있음. chs1223@hanmail.net

 

 

1. 한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에 속하는 사적 경험이나 기억이 얼마든지 재구성되거나 조작되고, 심지어는 외부에서 만들어져 주입될 수도 있다는 가공할 만한 현실은 아직은 공상과학소설 내지 영화 속에서나 접할 수 있는 미래의 일이다. 벤야민(W. Benjamin)은 기술적 복제에 종속된 예술가의 비참한 운명을 “비록 자신의 인격 전부를 바쳐 일을 하긴 하지만 그러나 인격의 분위기(aura)를 포기하면서 일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라고 영화배우의 예를 통해 말한 적이 있다. 그러나 신의 권좌를 공공연히 넘보기에 이른 지금의 복제기술은 예술의 차원을 넘어 현실에서 ‘인격’이란 말 자체를 지워내려 하고 있다. 복제된 ‘나(들)’의 출현 앞에 ‘인격’이 함축하는 주체의 고유함과 단일함은 더이상 존립할 수 없다.

지나친 예단일 수도 있겠지만, 이런 예측이 가능한 현실을 살고 있다는 것 자체가 시인에게는 견딜 수 없는 재앙이자 불행이다. 시인이란 인간과 세계 자체, 혹은 그것들의 교섭이 생산하는 어떤 고유한 분위기를 그 누구보다 예민하게 언어로 채굴, 정련하는 자이다. 인간과 세계의 고유성 박탈은 따라서 시와 시인 자체의 박탈이나 마찬가지이다. 이런 근본적인 위기상황에서 시인이 할 수 있는 일이란 무엇일까. 위기란 그것을 초래한 원인을 제대로 궁리할 때만이 극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답은 비교적 자명하다. 그것은 이를테면 시의 ‘블레이드 러너’(Blade Runner)를 자처하면서도, 그 자신 역시 그 어떤 ‘인격’의 조회도 무력화할 수 있는 고유성과 동일성 생산에 수고를 아끼지 않는 것이다.

 

115-277

 

여기서 함께 읽어볼 고형렬·최정례·반칠환의 시는 현재의 자기 동일성에 의문부호를 치면서 새로운 ‘나’의 탐구와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들의 작업은 ‘인격’의 위기상황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들 역시 우리와 동시대를 호흡하고 있기에 그런 위기의식의 영향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다는 사실이다. 또한 최근의 우리 시단은 자기만의 고유한 개성으로 세계를 진지하게 타진하기보다는, 몇몇의 특정 테마 혹은 경향에 집단 함몰되고 마는 시의식의 누수와 빈곤 현상을 심하게 겪고 있다. 이것도 어떤 의미에서는 ‘인격’의 복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세 시인의 새로운 ‘나’의 탐구가 ‘복제’의 심각한 유통에 일정한 제동을 거는 그런 것이기를 바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2. 고형렬(高炯烈)의 『김포 운호가든집에서』를 규율하는 중심원리를 든다면, 단연 “나를 생각하며 나를 모르는 일”(「해인사를 생각하는 날」)이라는 ‘나’에 대한 이중의 자의식일 것이다.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이 무지(無知) 혹은 무식(無識)에의 지향은 죽음의 공포가 초래하는 삶에 대한 아득한 허무감과 완강한 집착 모두를 다스리고 넘어서려는 매우 적극적인 행위이다. 그에게 ‘나를 모르는 일’이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버림으로써 오히려 그 버린 것들과 ‘처음’ 만나게 되는 그런 것을 뜻한다(『성에꽃 눈부처』〔1997〕 ‘후기’ 참조). ‘버림’ 의식은 따라서 기존의 앎과 삶에 대한 맹목적 부정과는 거리가 멀다.

 

다 사용하고 이울어버린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