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운동』, 푸른역사 2009
새마을의 열정, 욕망의 뉴타운
황병주 黃秉周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avianti@mest.go.kr
새로울 신(新)이 극성을 부리던 시대가 있었다. 신여성, 신소설, 신문물, 신생활, 신학문, 신시대 등등 그야말로‘新’은 곧 새로운‘神’이었다. 서구 근대와 조우하면서 한국사회는 모든 것이 일신되어야 했고, 낡은 것들은 악귀가 되어‘신’의 저주를 받아야만 했다.‘신’의 주술은 새로운 종교가 되었고 급기야 신화가 되었다. 그 주술과 신화는 개항과 식민지를 거쳐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문명개화, 근대화, 선진화는 곧 신의 축복을 열망하는 주문과도 같다.
신의 주술이 빚어낸 것 중에 새마을운동이 있었다. 마을은 마을이되 새로운 마을인 새마을은 곧‘신’의 축복을 받은‘신촌’이었다. 박정희체제는 신의 축복을 사람의 손으로 이룰 수 있음을 역설했고 방방곡곡 모든 마을에 시멘트 포대가 축복처럼 떨어졌다. 시멘트는 욕망이었다. 화려한 첨단의 도시를 빚어낸 시멘트가 드디어 시골‘깡촌’까지 강림했고, 그 마법은 도시와 농촌을 가로지르며 욕망의‘뉴타운-새마을’을 빚어냈다.
새마을운동은 박정희체제의 대표적인 대중동원 캠페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연구성과는 그리 많지 않다. 관변 연구를 제외한다면 본격적 분석은 손에 꼽을 정도이며 그나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