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세계의 블랙홀, 웜홀의 사랑
김사과 장편소설 『풀이 눕는다』
강동호 康棟晧
문학평론가. 주요 평론으로 「문학을 위한, 타자를 위한 변론: 박민규론」 「실패의 존재론: 김현의 문학론을 읽는 방법」 등이 있음. finhir@naver.com
19세기의 수도 빠리를 거닐었던 보들레르. 이 만보객(flâneur)은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근대적 시공간을 배회하며, 그 만발하는 도시적 이미지들을 삼키고 우울의 날숨(‘빠리의 우울’)을 토해냈다. 짐작건대 이 시인은 상품들의 진경(塵境)이 뿜어내는 모더니티의 현기(眩氣)로 인한 어떤 존재론적 조갈을 견뎌내기 위해, 근대적 삶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기보다는 세계의 속악함과 교묘하게 어울리고 뒤섞이는 일시적 공존방식을 택했을 것이다.
이러한 보들레르의 만보가 자본주의적 시공간을 수평적으로 주유하면서 삶의 각개 국면으로 비스듬히 입사(入射)해가는 방식이었다면, 김사과의 장편소설 『풀이 눕는다』(문학동네 2009)에서 발견되는 인물들의 걸음은 자본주의적 생존 자체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려는 어떤 강렬한 의지의 수직적 분출로 읽힌다. 등단작 「영이」에서부터 장편 『미나』에 이르기까지 그녀의 소설을 지탱하던 사회와 현실에 대한 저 정념(분노)과 광기는 이번 작품에도 건재하다. 그런데 걸음이라니, 그녀의 소설은 두 남녀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었던가? 그런데 조금 더 톺아본다면, 이 두 남녀의 사랑 이야기가 한편으로는 걸음에 대한 이야기와 겹쳐 보인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소설의 첫 장면을 보자. 소설은 주인공(‘나’)이 어느날 “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