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허문영 『세속적 영화, 세속적 비평』, 강 2010
세속비평의 즐거움
김영찬 金永贊
문학평론가, 계명대 교수 youngcritic@kmu.ac.kr
평소 영화주간지 『씨네 21』에 실리던 허문영의 영화비평을 기다리며 찾아읽었던 독자라면, 또 우리가 그냥 보고 지나쳤던 영화들의 갈피갈피에 의미의 숨결을 불어넣어 그 영화들을 우리 앞에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불러세워주던 그의 비평의 마술에 매혹되었던 독자라면, 그 글들이 묶여나왔다는 소식은 반가운 일일 수밖에 없다. 허문영의 영화비평집 『세속적 영화, 세속적 비평』은 그렇게 우리 앞에 왔다. 이 책은 말하자면, ‘진귀한’ 책이다. 이것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이 책을 그토록 진귀한 것으로 만들고 있는가? 이에 대해서는 짧은 지면에 다 담기도 힘든, 능력 밖의 수다한 어사(語辭)가 필요할 터, 이 자리에서는 다만 이 책의 특징과 더불어 우리가 허문영의 비평에 어쩔 수 없이 매혹되고 기어코 설복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만 간단히 언급하려 한다.
『세속적 영화, 세속적 비평』을 통독하다보면 흥미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이 책에는 「괴물」에서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까지 동서를 막론한 다양한 주제와 장르의 영화에 대한 비평들이 묶여 있고, 그 하나하나가 모두 각각의 영화들의 결을 살리면서 그 숨겨진 의미와 맥락을 오롯이 밝혀주는 충실한 (현장)비평들이다. 그런데 그것을 다 읽고나면, 비평의 대상이 된 개별 영화들의 특수성에 갇히거나 제한되지 않는, 오히려 그것을 넘어서고 통섭하는 어떤 일관된 지적 흐름의 실체가 육중한 실재감으로 안겨온다. 영화는 비평의 눈을 빌려 제자리에 놓여지고, 비평은 영화를 정신의 힘으로 물들인다. 모든 훌륭한 비평이 무릇 그러한 것일 테지만, 그것이 지극히 오락적인 대중적 장르(라고 생각하는)인 영화와 관련된 것이라는 점에서 이 사태는 더욱 특별하다. 여기서 물어보자. 허문영의 비평에서 영화를 대하는 모종의 태도와 관련되어 있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