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신체의 코기토, 스펙터클 사회로부터의 생환기

박범신 장편소설『촐라체』

 

 

양윤의 梁允禕

문학평론가. 주요 평론으로 저서로 「미완의 귀향과 벌거벗은 구원을 위하여」 「이 시대의 비극, 역설의 변증법」 등이 있다. quixote78@hanmail.net

 

 

박범신(朴範信) 장편소설 『촐라체』(푸른숲 2008)는 히말라야 에베레스트의 남서쪽에 위치한 촐라체(cholatse) 북벽에 오른 박상민, 하영교 형제의 등반기라는 의장(擬裝)을 하고 있다. 실제 산악인 박정헌, 최강식의 2005년 촐라체 등반체험을 주요 모티프로 삼는다. 여기 모인 상민, 영교, 소설가‘나’는 사회에서 내몰리거나 어디에도 정착하지 못한 처지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러니 전인미답의 촐라체 북벽이 그들에게 실존적 의미의 절대고독을 맛보게 할지라도 실상 그들을 그곳까지 내몬 것은 가파른 나락으로 추락한 현실이다.

아버지가 다른 형제간인 상민과 영교는 서로 오랜 애증관계에 놓여 있다. 서른세살의 상민은 유년시절 어머니의 가출과 아버지의 허망한 죽음을 경험하면서 내면 깊숙이 “삶의 그늘”을 갖게 된다. 그는 자신을 가족처럼 돌봐준 선배 김형주의 도움으로 산악인이 되지만 선배의 추락 장면을 목격하면서 산과의 인연마저 끊는다. 한편 스물한살의 영교는 부모를 잃고 급작스러운 경제적 몰락 과정을 밟는다. 지금은 전과자가 되어 이곳까지 도망온‘막장 인생’이다. 마지막으로 캠프지기‘나’는, 아들을 위해 소설가라는 꿈도 포기한 채 생계에 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