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악공(樂工)은 미래의 음악을 살고 있는가

신동옥 시집『악공, 아나키스트 기타』

 

 

함돈균 咸燉均

문학평론가, 주요 평론으로「우리의 포스트모던적 모던」「이 시대의 혁명, 이 시대의 니힐리즘」「안티고네의 노래」등이 있음. husaing@naver.com

 

 

누군가를 사랑하고 싶다고 말하는 이는 불행하다. 그는‘지금, 여기’에서 사랑하지 못하고, 다만 불확실한 미래의 사랑을 꿈꾸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사랑이 과거의 어떤 기억에 사로잡혀 있을 때 이 불행은 좀더 심각해진다. 사랑은 반복될 수 없는 과거로 끊임없이 소환되어, 새롭게 도래할 미래적인 것으로도 실현되기 힘들기 때문이다.

여기‘음악(소리)’에 사로잡힌 한 악공(樂工)이 있다. 그의 신세가 이와 비슷하다. 그는 “일현금을 타는 먼 나라의 악공”인‘당신’과 교접하여 육신과 영혼의 공명(共鳴)을 구하거나(75면), 스스로 “맞춤한 일현금을 얻고자 하는 금객(琴客)”이다(70면). “세 개의 유방을 가진 아름다운 여인들”에게서‘음경’대신‘우퍼’(woofer)를 선사받은 그는, “관상동맥의 길을 따라 걸어들 때 온몸에 스미는 현(絃)”의 소리가 육신의 경로를 거쳐 영혼과 공명하고, “헤모글로빈 음파를 뿜는 태양 스피커”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102~103면). 궁극적으로 그것은 “철새의 이동 경로와 같고, 꿈의 다리를 건너는 기차의 경적 소리와 같다”(같은 곳). 육신의 박동과 흐름을 음악적인 것에 일치시키고, 소리의 미세한 파동이 영혼의 심연에 이를 수 있는 길을 갈구하며, 이 소리가 궁극적으로 우주적인 어떤 섭리와 공명하기를 바란다는 점에서 이 악공의 갈구는 19세기 상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