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어느 ‘존재론적 드라마’의 정치적 빈곤

A. 네그리·M. 하트 『제국』, 이학사 2001

 

 

박영도 朴榮道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사회학 parksoam@freechal.com

 

 

막강한 군사력과 금융투기로 전세계를 ‘찍히면 죽는다’는 공포 속으로 몰아넣는 미국의 안하무인격 작태를 보노라면 ‘제국주의’라는 단어가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이런 정황에서, 누군가가 제국주의는 오늘의 세계질서를 이해하는 데 적합하지 않을뿐더러, 미국의 글로벌 기획은 제국주의가 아니라고 한다면, 아마도 부시의 홍보보좌관의 말이려니 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급진 좌파의 전형인 이딸리아 자율주의 운동의 이론적 대변자 안또니오 네그리(Antonio Negri)와 그의 제자 마이클 하트(Michael Hardt)가 함께 쓴 『제국』(Empire, 윤수종 옮김)의 주요 명제이다.

세계화에 대한 대표적인 포스트맑스주의적 저작인 이 책은 객관적 필연론이나 누군가 배후에 있다는 식의 음모론을 모두 피하고 세계화를 국민국가적 주권으로부터 글로벌 주권 형식인 제국으로의 이행으로 해석한다. 흔히 거론되는 ‘정부 없는 통치’라는 덤덤한 형상에 제국이라는 색깔 있는 이름을 붙인 셈이다. 이 책에 따르면, 제국주의가 국민국가적 주권의 확장인 데 반해, 제국엔 외부가 없으며 영토적 권력중심도 없다. 또 제국주의가 기율권력의 확장인 데 비해, 제국은 삶을 대상으로 하는 생체권력의 형태를 띤다.

‘제국주의가 아니라 제국’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