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비평

함돈균 평론집 『얼굴 없는 노래』

 

 

이경재 李京在

문학평론가. 주요 평론으로 「최근 한국소설에 숨겨진 소통의 가능성」 「2000년대 비평의 잉여와 결핍」 등이 있음. ssmart1@hanmail.net

 

 

우리시대와 우리시대 문학의 “근본 기분”인 니힐리즘은 함돈균(咸燉均)의 이번 평론집 『얼굴 없는 노래』(문학과지성사 2009)의 중핵이다. 함돈균은 우리 시가 나아갈 방향성을 “아이러니에 전제되어 있는 삶에 대한 모종의 불신감을 전면화하고 대문자 역사 자체를 유유히 폐기할 때, 그리고 어떤 종류의 유토피아니즘에도 의지하지 않으면서 삶의 모든 가능한 방향성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니힐리즘의 층위”에서 사유하고 있다.‘2000년대 중후반의 문학과 혁명’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 시대의 혁명, 이 시대의 니힐리즘」에서 그는 “지금 여기, 한국문학의 주변을 유령처럼 배회하고 있는‘니힐리즘’이 있다”고 단언한다. 지금의 시와 소설들은 니힐리즘을 “개인의 철학적 무기로 삼아‘신 없는 세계’에 자신의 법을 세우고, 길의 흔적이 사라진 사막 위에 자신만의 창조적 길을 냄으로써 삶을 긍정적으로 쇄신하려고 애쓴다”는 것이다. 니힐리즘을 2000년대 문학의 주조로 파악하는 것은 「모더니티와 니힐리즘의 시학」에서도 발견된다. 김수영(金洙暎) 이후는 “니힐리즘 미학의 도래라는 현상”으로 압축된다.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