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 | 내가 사는 곳 ⑤
오지여서 좋고 오져서 좋은 봉화
허태임 許泰任
식물분류학자. DMZ자생식물원을 거쳐 현재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보전복원실에서 식물을 연구하고 있음. 저서로 『식물분류학자 허태임의 나의 초록목록』 등이 있음.
celtisming@gmail.com
봉화에 삽니다.
아, 그 봉하마을이요?
아니요, 경남 김해 봉하마을 아니고 경북 봉화군 춘양이요.
경북 봉화와 강원 영월의 경계에 있는 산골짜기에 2017년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들어섰다. 나는 이 수목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는 사람이다. 실험실에만 앉아 있는 건 아니다. 식물이 원래 사는 땅인 자생지, 그 현장에 더 많이 머무는 편이다. 수목원에 와서 내가 처음 기획한 연구과제는 봉화군의 산과 들에서 저절로 살아가는 자생식물의 종류를 조사해 밝히는 거였다. 지역의 식물상(相)을 구명하는 것은 식물분류학의 기본이다. 그중에서 당장 멸종의 위기에 직면한 식물은 없는지, 특별히 보호가 필요한 장소는 어디인지를 알아내는 일이 내 몫이다. 실제로 키워내면 좋을 자생식물을 파악하고 그 씨앗과 재배 기술을 지역민들에게 전달하는 일도 빠뜨릴 수 없다.
봉화의 길과 산골짜기를 찾아가는 것은 식물의 곁으로 스스럼없이 다가가는 일, 그러니까 식물과 연애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봉화군은 전체 면적의 83퍼센트가 산이다. 산마다 고개는 또 얼마나 많은지. 그중 도래기재가 있다. 백두산에서 출발한 한반도의 가장 큰 산줄기가 남한에 와서 처음으로 방향을 틀고 서쪽의 소백산으로 나아가는 지점이 도래기재다. 그 고개의 서쪽에 수목원이 있고 동쪽에 우구치마을이 있다. 권정생 선생이 소설 『한티재 하늘』(전2권, 지식산업사 1988)에서 “우구치는 경상도와 강원도 중간에 있었다. 춘양 장터에서도 사십리나 들어가는 산속의 산이었다. (…) 산꼭대기로는 죽죽 뻗은 소나무가 빽빽이 서 있고 기슭으로는 참나무가 아름들이로 자라 있었다”라고 쓴 바로 그 마을. 선생은 마을에 대해 이렇게도 썼다.
강줄기를 따라 올라가면 뜸뜸이 외딴집이 오 리에 한 집, 십 리에 한 집씩 있었다. (…) 바로 집 옆 여기저기 손바닥만 한 밭떼기가 뙈기뙈기 비탈로 붙어 있고(…)
온갖 짐승들이 무섭게 울어대는 밤, 머루 다래 같은 열매가 흔하고 물이 깨끗한 산골, 시월 초순에 눈이 내리는 곳…… 소설에 등장하는 이런 풍경은 지금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소의 입을 닮았다는 우구치(牛口峙)마을. 이 마을에는 동네 전체를 연결하는 제대로 된 신작로가 없다. 일명 춘양목으로 통하는 곧게 자라는 소나무와 고랭지 밭은 많다. 우편집배원은 마을 초입에 오토바이를 세워놓고 걸어서 계곡 따라 띄엄띄엄 있는 외딴집에 우편물을 배달한다. 오늘날의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 그 오지 풍경을 7년 전 처음 마주한 순간 나는 단번에 반하고 말았다. 그날부터 풀 보러, 물 보러, 별 보러 마을 속으로 수없이 들어갔다. 걸어가기도 했고 뛰어가기도 했고 자전거를 끌고 가는 날도 있었다. 어떤 날에는 동네 어르신을 만나 마을 이야기를 한참이나 귀에 담고 나오기도 했다.
금광이 발견되면서 한때 상상 못할 정도로 마을이 커진 적도 있었다. 그때 생긴 또다른 지명이 금정(金井)이다. 일제강점기에 동네 사람들은 일본에 가져갈 금을 캐는 일에 강제동원되었다. 더는 안 나올 만큼 부지런히 캤기 때문일까, 이제는 정말 금이 안 나온다. 그뒤로 마을은 금광을 발견하기 전보다 더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나무는 쇠락하지 않았다. 세종대왕 재위 시절부터 여전히 그 자리에서 마을을 내려다보고 있는 우구치 철쭉은 올해 오백팔십네댓살 정도 됐다. 마을 어귀에서 이백년 넘게 산 소나무는 동네 서낭목이다. 이 신목(神木)에게 빌기 위해서 해마다 정월 보름에 마을 전체가 정성스레 음식을 차리고 동제를 지낸다.
이끼가 보고 싶을 때 나는 우구치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