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인터뷰 | 새로운 25년을 향하여 | 동북아 평화
“우리는 전쟁을 수행하지 않겠습니다”
이순애 李順愛
여성사 연구자. 저서 『전후시대의 전쟁책임론(戰後世代の戰爭責任論)』 『2세의 기원과 ‘전후사상’(二世の起源と‘戰後思想’)』 등이 있음.
사또오 히사시 佐藤久
번역가. 일본어로 옮긴 책으로 황석영 『무기의 그늘(武器の影)』 등이 있음.
이번 『창작과비평』의 200호 기념호에는 러시아사와 북한 현대사 연구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베트남전쟁 반대운동, 한국 민주화운동과의 연대 등을 주도한 일본을 대표하는 지식인 와다 하루끼 선생과의 인터뷰를 게재하기로 했습니다. ‘창비’와도 인연이 깊은 선생은 현재, 세계적인 문제로 떠오른 우끄라이나전쟁에 대해서 활발하게 제언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거기에는 분단된 한반도의 문제도 엿보입니다. 이순애, 사또오 히사시 저희 두 사람은 지난 4월 10일과 5월 4일 양일에 걸쳐 선생님을 뵙고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사또오 히사시 제가 와다 선생님을 처음 만난 것은 고등학교 3학년이었던 1968년 5월, 선생님이 역 앞에서 베트남전쟁에 반대하는 전단지를 돌리고 있을 때였습니다. 선생님은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1938년에 태어나 일곱살이던 1945년 일본의 패전을 보았고, 십대 시기에는 한국전쟁의 발발과 정전을 보았습니다. 이를 두고 “나는 이 두개의 전후에 성장”했으며 “전쟁과 평화의 문제는 나를 둘러싼 역사학에 있어서 생애의 기본 문제였다”(『러시아 혁명: 뻬뜨로그라드 1917년 2월』 2018)고 쓰시기도 했지요. 그러한 전쟁 체험은 이번 우끄라이나전쟁에 대해서 ‘즉시정전(即時停戰)’을 주장하시는 선생님의 입장과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지요?
와다 하루끼 전쟁을 처음 겪었을 때 나는 군함이나 비행기, 군인이나 사무라이 그림을 그리며 놀고 있던 아이였어요. 그러나 우리 집이 있었던 시미즈시(清水市)도 미 공군의 공습을 받았고, 방공호 속에서 B29가 하늘을 스쳐 지나가는 모습을 보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1945년 8월 15일에는 전쟁이 끝났다는 것이 마냥 기뻤어요. 다음으로 한국전쟁은 나의 중학교 시절과 겹칩니다. 그때는 전쟁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 불안했을 따름이지요. 그리고 1965년에 베트남전쟁이 일어나자 나이 서른의 사회인이 되어 있던 나는 처음으로 전쟁과 정면으로 마주했습니다. 처음에는 ‘베트남에 평화를’ ‘죽이지 마라’ 등의 베평련(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에서 내놓은 슬로건에 동조했습니다. 그러나 1968년에 나 자신이 그룹을 만들어서 운동을 시작했을 때부터—사또오씨는 그때부터 운동을 함께해온 저의 50년 동안의 친구이지요—침략자 미국을 쫓아내고 심판하고 벌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정의를 추구했습니다. ‘미군 해체’ ‘자, 여기서 전쟁의 기계를 멈추자’ 등의 슬로건은 우리가 중심이 되어서 내놓은 것들이에요. 우리는 미군 내부의 반전 병사와 하나가 되어 미군을 패배시키기 위해서 운동했습니다. 1975년 마침내 미국은 패배해서 베트남에서 도망쳤지만 정의는 실현되지 않았어요. 미국은 사죄하지 않았으며 배상하지도 않았고 재판도 받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핵대국 미국은 침략을 거듭합니다. 미국은 이라크가 대량파괴무기를 숨기고 있다고 주장하며 2003년에는 이라크를 공격했으며 사담 후세인 정권을 타도하고 후세인을 처형했습니다. 그래서 정의의 실현보다도 전쟁을 멈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우끄라이나전쟁이 시작되자 처음부터 ‘즉시정전’을 말하기 시작한 것은 나의 80년 동안의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에요.
이순애 실제로 작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끄라이나를 침공한 직후부터 선생님은 전쟁을 멈추기 위한 행동을 개시하셨지요. 작년 3월에 일본정부가 우끄라이나전쟁을 하루 빨리 멈추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는 첫번째 성명을 발표하셨고, 5월에는 제2차 성명을 한일 공동으로 발표하셨습니다. 7월에는 유엔 사무총장을 수취인으로 「우끄라이나전쟁의 정전을 중재해주세요」라는 공개서한을 역시 한국과 일본의 시민과 연구자 이름으로 발표하셨고요. 올해 들어서도 얼마 전 「“지금이야말로 정전을” “우리 지역에 평화를”: 2023년 5월 히로시마에 모이는 G7 지도자에게 보내는 일본 시민의 선언」을 발표하시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