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공임순 『식민지의 적자들』, 푸른역사 2005
‘우리 안의 식민지’를 청산하기 위하여
염복규 廉馥圭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pkyum1@empal.com
“일제 식민지배는 오히려 축복”이었다고 한 한승조(韓昇助)씨의 발언은 당연하게도 큰 충격을 주었다. 게다가 그의 발언에 대한 찬성의 목소리가 그치지 않고 있음은 더욱 놀랍다. 발언의 내용보다 주목되는 것은 발언의 싯점이다. 오랜 독재권력의 시대에 친일청산문제는 억압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공개적인 식민지배 미화 역시 금단의 영역이었음이 틀림없다. 구구한 과정을 거치기는 했지만, 최근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자발적인’ 식민지배 미화담론의 ‘커밍아웃’이 바로 이 싯점, 즉 친일청산문제에 대한 ‘민주/민족’국가의 공식적인 개입이 시작되는 싯점에 터져나온 것은 ‘우리 안의 식민지’의 뿌리가 짐작보다 훨씬 깊다는 사실을 의미하지는 않을까?
근대한국의 “‘무치’와 ‘위선’의 감춰진 역사를 밑바닥까지 들여다봄으로써 그것과 치열한 대결을 통해 당대 모순을 짚어내고자”(9면) 한 공임순(孔任順)의 『식민지의 적자들』을 읽는 동안 머릿속을 맴돌았던 질문이다. 저자의 관심사는 역사인물들이다. 아니 인물 그 자체가 아니라, 그들이 소설이나 드라마 등 근대 대중서사에서 언제 어떻게 형상화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