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유전자―문화의 공진화
에드워드 윌슨 『통섭: 지식의 대통합』, 사이언스북스 2005
소광섭 蘇光燮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 kssoh@phya.snu.ac.kr
“대다수의 과학자는 장인(匠人)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오늘날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들은 전문분야에만 집중한다”(88면)라고 이 책 『통섭』(Consilience, 최재천·장대익 옮김)이 지적했듯이 오늘날 대부분의 지식인은 학문체계 전체를 조감할 정도로 지성적이지 못하다. 에드워드 윌슨(Edward O. Wilson)은 ‘사회생물학’이란 분야를 개척한 대생물학자일 뿐만 아니라, 이 책의 부제인 ‘지식의 대통합’(the unity of knowledge)을 논할 만큼 시대의 걸출한 지성인이라 하겠다. 책 제목인 ‘통섭(統攝)’이 매우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데, 글자 그대로의 뜻은 ‘큰 줄기를 잡다’로서 모든 학문체계를 아우르는 큰 줄기를 잡는다는 의미로 보면 무난하겠다.
‘통섭’은 자연과학자로선 드물게 문장력이 뛰어난 최재천(崔在天) 교수가 일년이 넘게 애써 찾아낸 어휘이다. 제목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면 이 책의 핵심주장을 파악할 수 있을 만큼 이 어휘에는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어 있다. 역자가 제시한 비슷한 단어로 통일(unification)이 있는데, 통일은 ‘진시황이 전국시대 제국을 병합하여 천하통일을 이루었다’ 또는 ‘아인슈타인이 중력과 전기력의 통일을 시도했다’고 하는 예들처럼 위계가 없이 병렬적인 존재들을 종합하는 의미로 쓰인다. 이 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