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단과 현장
이제는 창작 뮤지컬이다
박병성 朴炳成
뮤지컬 전문지 『더뮤지컬』 편집장. littletree@themusical.co.kr
뮤지컬 붐, 아직 따지 않은 샴페인
2006년 공연계를 결산하면서 티켓 예매처와 각 언론사는 ‘공연계를 점령한 뮤지컬’‘뮤지컬 전성시대’ 등 호들갑스러운 헤드카피로 뮤지컬시장의 성장을 알렸다.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국내 뮤지컬시장은 2000년대 들어서 연 20퍼센트 정도씩 성장해왔다. 연극을 비롯한 기타 공연시장이 정체되거나 축소된 반면, 뮤지컬시장은 꾸준하고도 빠른 성장세를 이어왔다. 2006년에는 뮤지컬이 전체 공연시장 중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일부 국내 뮤지컬 제작자들은 브로드웨이, 웨스트엔드, 유럽, 일본에 이어 한국을 세계 5위의 시장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연간 제작편수로는 이미 브로드웨이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데다, 고속성장에 따른 자신감에서 나온 평가이다. 이른 감이 없지 않지만 지금 같은 추세에서는 결코 과장된 표현만은 아니다.
영화와 함께 뮤지컬이 엔터테인먼트산업으로 각광을 받는 것은 전세계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로 특징지어지는 산업사회에서 대중예술이 성장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우리의 경우는 유별나고 극성스러운 면이 있다. 한국 공연시장에서 뮤지컬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대중이 즐길 수 있는 문화가 부족했던 현실과 맥이 닿아 있다. 우리는 단기간에 근대화와 산업화를 이뤄내면서 대중예술을 양성할 여유를 갖지 못했다. 오페라, 무용, 클래식 등 소위 고급예술은 수용자에게 일정정도의 훈련을 요구하는 터라 대중이 쉽게 향유하기는 힘들다. ‘해설이 있는 발레’‘해설이 있는 오페라’ 등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것들은 장르 자체의 성격을 그대로 유지한 채 대중이 다가오는 통로를 좀더 열어둔 것에 불과해 본질적인 변화를 불러온 것은 아니다.
대중예술은 일반적으로 통속성을 지향한다. 뮤지컬은 대중의 욕망을 무대에서 재현함으로써 즐거움과 재미를 준다. 이해하기 쉬운 내용에, 춤과 노래, 연기가 어우러진 양식은 가무를 즐기는 우리 민족의 기질과도 잘 어울려 문화에 대한 대중의 목마름을 씻어주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뮤지컬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과연 이러한 성장세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않다. 뮤지컬시장의 갑작스러운 성장속도에 보조를 맞추지 못하는 인프라의 부족이 의구심을 부추기고 있다.
우선 인력 부족이 가장 큰 문제다. 뮤지컬배우를 지망하는 사람들은 늘어나고 있지만 무대에서 제몫을 해낼 수 있는 배우로 성장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뮤지컬배우는 연기와 노래, 춤의 삼박자를 고루 갖추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무대경험이 필요하다. 최근 각 대학에 뮤지컬학과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지만 아직 배우를 양성하기 위한 커리큘럼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한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어느정도 실력을 갖춘 배우가 여러 작품에 겹치기 출연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일정 수준에 달하는 뮤지컬배우의 수는 적고 작품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에서 벌어지는 일종의 해프닝인 셈이다.
연출가, 음악감독, 무대·조명·음향 디자이너 등 스태프들의 사정을 살펴보면 문제는 더 심각하다. 전문 스태프를 양성하는 데는 배우보다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그래서 이름있는 스태프 몇몇이 국내에 올라가는 모든 뮤지컬의 무대와 조명, 음향을 맡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게다가 이들 중에서도 뮤지컬의 문법을 체화한 이는 드물다. 대부분 연극이나 오페라, 무용 등 인접 장르에서 뮤지컬로 옮겨온 터라 제작현장에서도 혼란이 빚어지기 일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