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산문

 

인문정신의 위기와 ‘실천인문학’

오창은│문학평론가, 지행네트워크 연구위원

 

 

감시초소를 넘어설 때, 그 너머의 고요가 낯익다는 생각을 했다. 마침 이슬비가 내려 어깨에 멘 자료집 뭉치를 적시고 있었다. 세상을 적시는 상큼한 느낌의 여린 물방울이었지만 그 차분함이 편치 않았다. 이 느낌은 무엇일까? 낭패감의 뿌리를 찾아 회상에 나를 내맡기자, 문득 논산훈련소의 높은 담장이 생각났다. 안양교도소의 담장은 훈련병으로 입소하던 시절의 기억을 오롯이 되살려냈다. 그때, 위병소를 지나면서 나는‘당분간 세상과 단절된다’는 고립감에 주춤했었다. 그리고, 진짜‘세상과 단절된 이들과의 만남’을 위해 안양교도소의 높은 담장을 통과했다.

2008년 7월 14일부터 2주간 안양교도소에서 진행된‘제5기 평화인문학 강의’는 그렇게 시작되었다. 나는‘제5기 강좌’의 총책임자였고, 수용자와 강사 들의 만남에 디딤돌을 놓아야 하는 첫 강사였다. 2주간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도 우리는 예산이 전혀 없었다. 모든 강사들은 무급봉사였고, 자료집 발간 등은‘지행네트워크’연구위원들이 갹출해 충당했다. 다행히 행사가 다 끝난 후에‘아름다운재단의 개미스폰서’지원이 결정되어, 나중에야 강사료를 지급하고 적자도 메울 수 있었다.

강의록을 준비하면서도 시행착오의 연속이었다.‘마음을 치료하는 글쓰기’라고 강의 제목을 정했다가‘마음을 다스리는 시읽기와 글쓰기’로 변경했다. 수용자를 환자로 간주하는 듯한 제목이 마음에 걸렸던 것이다. 신경림의 「무인도」와 기형도의 「안개」를 함께 읽으면서 수용자들과 눈을 마주치고 그들의 이야기를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교도소에서 진행되는 인문학 강의에 매료되어 세번째 수강한다는 20대 중반 젊은 수용자의 진지한 눈빛은 강렬했다. 그는 내게 “내 글도 다른 사람을 위로할 수 있을까요?”라고 물어왔다. 그의 질문은‘글을 읽으면서 위안받은 자의 내면’을 절실한 마음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50대 초반의 한 수용자는 자신이 쓴 짧은 소설을 수줍은 듯이 모두에게 읽어주기도 했다. 반복되는 꿈 속에 자신의 현실적 욕망을 담아낸 엽편소설은 모두들 한바탕 웃음으로 내몰아 수업 분위기를 유쾌하게 반전시켰다. 나는 그곳에서 마음이 닫힌 인문학자였고, 몸이 갇힌 수용자들은 글쓰기를 통해 해방을 경험한 자유인이었다.

강의를 진행하면서 나는 세상에 대한 경험의 폭이 너무 좁다는 사실에 두려움을 느꼈다. 수용자와 동화되어 그들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계는 내가 감당하기에는 너무 낯선 것이었다. 과연 인문학이 삶의 현장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평화인문학 강의 이후 나는‘인문학의 위기 담론’을 대학 밖에서 객관화해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2005년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