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산문

 

인터넷은 인문학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나

이현우│비평가, 인터넷 까페‘비평고원’회원

 

 

나에게 주어진 일차적인 과제는 인터넷 공간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인문학적 활동의 의의와 문제점을 짚어보는 것이다. 인터넷 (우주)공간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활동을 조감할 만한 능력을 갖고 있지 않음에도 이런 과제를 떠안게 된 것은 내가 주로 인터넷 공간을 중심으로 활동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래봐야 인터넷상에 블로그(서재)를 갖고 있고, 한 인터넷 까페에 자주 글을 올린다는 것이 내세울 만한 활동 이력의 전부다. 치명적인 건 활동반경 바깥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서 두루 알지는 못한다는 것. 시간적인 제약과 능력상의 한계 때문이지만, 사실 두루 안다는 것 자체가 과연 가능하며 또 바람직한 것일까도 의문이다.

학문의 전문화와 함께 인문학에서조차 자신의 전공분야에 정통하다는 것의 이면은 흔히 타 분야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이기 십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무지는 오히려 권장된다. 거꾸로 모든 분야에 두루 식견이 있다는 것이‘얄팍한 박식’과 동일시된다.‘국가적인’석학이 아닌 다음에야 깊으면 넓지 못하고 넓으면 깊지 않다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통념 아닌가. 새로운 조어를 쓰자면‘인터넷 인문학’에 대한 시각도 그러한 통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듯싶다. 세계적인 석학 움베르또 에꼬도 이렇게 말했다지 않은가. “인터넷에는 내게 필요한 정보가 없다.”

물론 그렇게 말한 에꼬의 경우에도 잘 꾸며진 홈페이지를 갖고 있고, 일반독자들은 그에 대한 다수의 정보와 지식을 인터넷에서 얻을 수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인터넷은 단편적인 지식과 기계적인 정보의 대명사이자 표피적인 앎의 상징물이다. 가령,‘신지식인’이후 지식인사회에 당혹감을 안겨줌과 동시에 새로운‘놀림감’이 된‘네이버 지식IN’을 도마에 올려놓을 수 있다. “다크써클 없애는 데 브로콜리가 효과적인가요?”나 “‘카노사의 굴욕’에서 카노사가 도대체 뭐죠?” 등의 질문에 지식IN은 신속하고도 유익한 답변을 제공해주지만,‘그’는 아직까지 움베르또 에꼬 기호학의 특징과 의의에 대해서는 질문하지도 답해주지도 않는다. 물론 이런 질문은 올라와 있다. “움베르또 에꼬 지금 살아 있나요? 현존인물이에요?”

하지만 이런 표피성이 과연 인터넷 공간 자체의 본질과 연관된 것일까? 그것이‘사용공간’인 한에서 문제는 그 사용자들의 의지에 달린 것이 아닐까? 알다시피, 오늘날 대부분의 편지를 대신하고 있는 건 이메일이다. 전달의 신속성과 편이성에서 편지는 이메일을 따라잡을 수 없다. 물론 이메일 또한‘표피적’이며 보내는 이의 정서와 체온을 전달하는 데‘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