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서동만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 선인 2005
일급에 이른 북한연구의 결실
박명림 朴明林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mlpark@yonsei.ac.kr
한 사회의 학문발전은 종종 그 사회 자체의 발전을 반영하곤 한다. 반면 학문과 사회는 불균등발전이라는 관계동학을 통해 상호 긴장과 충돌 속에 한 공동체의 변화를 추동하기도 한다. 서동만(徐東晩)의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에서 평자는 이 두 측면을 함께 발견한다. 이 책이 우리 사회의 학문연구의 깊이를 반영한 저서인 동시에, 현실에 대한 한 사회과학자의 비판적 분석의 산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의 사회적 실천이 보여준 바를 덧붙일 때 이는 더욱 사실에 부합한다. 이 대작은 앞으로 오랜 시간을 두고 우리 학계의 주목을 끌 것인바, 저자의 연구처럼 ‘사회적 지식’(socialknowledge)―사회로부터 산생되고 사회변화를 위해 기여한다는 의미에서―으로서 사회과학의 본령을 다시 반추하게 하는 최근의 연구도 드물다.
평자는 대폭 보완되어 이번에 출간된 이 책의 모본이랄 수 있는 1995년 토오꾜오대 대학원 박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