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정박하지 않는 사상가의 삶과 언어

리영희·임헌영 『대화: 한 지식인의 삶과 사상』, 한길사 2005

 

 

정희진 鄭喜鎭

서강대 강사, 여성학 out67@chol.com

 

 

대화

『대화』를 읽고 리영희(李泳禧)를 한국 최초의 평화학자(平和學者)라고 생각했다. 그의 삶은 인생의 매순간을 새롭게 살고 싶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몰두해보고 싶을 만큼 매력적이다. 이것은 그가 뛰어난 비판적 지식인인 까닭도 있지만 그보다는, 유치환의 ‘바람’처럼 평생을 “쉼없이 뉘우치고 탄식하고 회의하고 헤맸기” 때문이다. 그의 사상에는 정박의 흔적이 없다. 평화는 변화이다. 폭력의 반대말은 평화라기보다는 ‘대화’인데, 여기서 대화는 비폭력이 아니라 오히려 기존 관계의 격렬한(violent) 변화를 뜻한다. ‘주례사 비평’을 피하기 위한 비판을 위한 비판, 경의의 헌사 모두 대화 단절의 언어이며 텍스트를 외롭게 만든다.

마흔을 채 살지 않았으며 페미니즘을 공부하는 내가, 아홉번의 연행, 다섯번의 기소(유예), 세번의 징역으로 한국현대사를 대표하는 남성 지식인의 75년의 생애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더구나 이 책은 자신에게 절대 관대하지 않은 ‘완벽주의자’ 리영희가 “나의 지금 조건과 형편을 생각하면, 이것으로도 대견한 것이 솔직한 심정”(11면)이라고 말할 정도로, 뇌출혈의 고통 속에서 탁월한 조타수 대담자 임헌영(任軒永)을 비롯한 수많은 이들의 도움으로 2년여의 구술과 고쳐쓰기를 통해 완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