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다산학단문헌집성』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8

정약용사단의 학문적 집대성

 

 

심경호 沈慶昊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sim1223@korea.ac.kr

 

 

촌평_다산학당문헌집성학술지성사의 연구는 자료 수집과 정리에서 시작한다. 중국에서는 청나라 때 실증적 학풍이 발달하면서 자료 집성과 분석을 중시했고 근대에 들어와서는 이른바 국고(國故) 정리를 대대적으로 시행했다. 일본의 경우도 같은 과정을 거쳐 현대적 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 그런데 한국학의 경우는 여러가지 이유에서 자료들이 흩어져버려 개인, 학맥, 시대상을 연구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근대에 들어와 국학의 기초자료를 정리하기 시작했지만, 학맥을 살피고 시대적 문제를 논하며 지성사의 계보를 기술하려 할 때 늘 자료상의 문제에 맞닥뜨려왔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에 대한 연구도 예외가 아니었다.

다산의 저술이 신식 활자본으로 간행된 것은 1938년의 일이다. 1934년부터 정인보(鄭寅普)와 안재홍(安在鴻)이 편집과 교정을 담당해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76책의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로 간행한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다산의 학문이 당대와 후대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