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정지된 세계의 잠언

정지아 소설집『봄빛』

 

 

박창범 朴昌範

문학평론가. 주요 평론으로「생의 우울을 지탱하는‘지옥의 눈’」이 있음. arasaro@naver.

 

 

인생은 곧잘 뒤를 돌아보며 앞으로 내딛는 행보에 비유된다. 이 익숙한 비유는 삶의 불가역성과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응하려는 욕망의 역설적 결합 속에 온전한 삶이 주어질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리라. 가령, 문학이 그토록 혐오하는 속물적 삶이란 대개 뒤돌아보지 않고 내처 앞으로만 내달리는 자들의 세계가 아니었던가. 정지아(鄭智我)의 두번째 소설집 『봄빛』(창비 2008)은 이 뒤돌아보는 자 혹은 그 회향적 시선을 지켜보는 자들의 세계를 다루고 있다. 이에 어울릴 법하게도 소설집에 실린 인물들은 거개가 노인네들이다. 노년이란 결국 생물학적 연령을 뜻하기 이전에 본질적으로 되돌아보는 자들의 세계이기에 그렇다. 정지아는 이들의 삶을 “갇힌 시간 속에서 살아온 날의 기억을 되씹는 한마리 소”(234면)에 비유하고 있다. 여기서 기억은 과거 현장의 복원과 재생에 있지 않을 것이다. 여러 평자의 지적도 있었거니와 작가 본인도 밝히고 있듯이, 근래 정지아의 세계는 저 유명한 『빨치산의 딸』(실천문학사 1990)로 대변되는 화급한 책무의 시절에서 어느정도 비켜서 있는 까닭이다. 따라서 기억주체가 무엇을 떠올리며, 이 소환된 기억이 어떤 서사적 목소리를 분출하고 불러들이는지에 주목하는 것이 관건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