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주변부적 시선이 발산하는 열정적 힘들
김종광 소설집 『모내기 블루스』, 창작과비평사 2002
공선옥 소설집 『멋진 한세상』, 창작과비평사 2002
김하기 소설집 『복사꽃 그 자리』, 문학동네 2002
오창은 吳昶銀
문학평론가. 『모색』 편집위원. 주요평론으로 「억압된 기억의 꿈-황석영의 ‘손님’론」 등이 있음. longcau@hanmail.net
1. 소설은 ‘벗어남’이다. 뻔한 이야기를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반복하는 소설은 긴장감을 떨어뜨린다. 독자들이 소설을 통해 기대하는 ‘뭔가 다른 것’을 위해 작가는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고, 길을 만들고, 부드러운 지혜를 찾아낸다. 독자들은 자기의 일상을 벗어나 작가가 창조해낸 작품 속의 일상을 엿본다. 작품 속 일상을 곁눈질하는 관음증을 즐길 때, 독자들은 자신의 일상도 낯설게 볼 수 있게 된다.
요즘과 같이 냉혹한 시대에 일상에 충실한 것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기도 한다. 흔히들 불안정한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한눈 팔지 않고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러한 통념은 타인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억압적 폭력을 행사하는 경쟁사회의 이데올로기를 은폐하고 있다. 이 이데올로기는 자신의 삶과 일상만을 바라보는 태도에서 벗어나 타인의 일상으로 가로질러 들어갈 때 감지될 수 있다. 타인의 생활에 눈을 맞추고, 자신과 타인의 일상이 어떻게 연관돼 있는가에 관한 화두를 던져주는 게 문학의 역할일 것이다. 그래서 소설이 향하고 있는 ‘뭔가 다른 것’은 ‘이색(異色)’이 아닌 ‘탐색(探索)’이어야 하리라.
최근 간행된 김종광의 『모내기 블루스』, 공선옥의 『멋진 한세상』, 김하기의 『복사꽃 그 자리』는 중심과 주변의 경계를 허무는 작가적 태도를 통해 이러한 탐색을 시도하고 있다. 김종광은 특유의 해학적 어조로 농촌과 소도시, 서울을 넘나들며 우리 시대의 풍속도를 유희적으로 묘파하고 있으며, 공선옥은 특유의 여성적 당당함을 견지하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그늘이 드리워진 곳을 데워주고 있다. 김하기 역시 분단에 대한 관심을 지속시키면서도 삶의 깊이를 소설에 담아내려 하고 있다.
2. 김종광(金鍾光)의 소설은 경쾌하다. 그리고 잘 읽힌다. 그는 단편소설의 압축적 성격을 활용하여 빠른 장면전환을 유도한다. 게다가 김종광이 구사하는 소설언어는 거침이 없다. 글쓰는 사람들은 누구나 의식·무의식적으로 ‘자기방어’의 욕망과 힘겨운 싸움을 벌여야 하는데, 김종광은 이러한 ‘자기검열’로부터 자유로운 듯하다. 능청에 가까운 이러한 자신감은 이야기꾼에게 큰 잇점이다.
그는 농촌에 훈훈한 입김을 불어넣으면서(「모내기 블루스」 「윷을 던져라」), 농촌과 인접한 중소도시의 풍경묘사에도 탁월하다(「언론낙서백일장」 「서점, 네시」 「당구장 십이시」). 또한 스스로를 불쌍한 71년생 90학번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서울 근교 대학 출신의 서울살이를 의뭉스럽게 묘사한다(「노래를 못하면 아, 미운 사람」 「서울, 눈 거의 내리지 않음」 「열쇠가 없는 사람들」).
표제작인 「모내기 블루스」는 농번기 시골풍경을 통통 튀는 경쾌함으로 펼쳐 보인다. 서른여섯의 노총각 대춘이 서해라는 술집 처자를 농촌에 데려온다는 설정부터 예사롭지 않다. 대춘은 “수컷들한테 치여 산 인생”이 안돼 보여서 그녀를 “며칠 푹 쉬고 가라구 꼬셔”(18면) 온다. 그러나 서해는 당돌하다 싶을 정도로 농촌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