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 웹북으로 보기 스크랩 시 이명훈 李明勳 1961년 청주 출생. 2000년 『현대시』로 등단, 2003년 『문학사상』 장편문학상 수상. iles0215@hanmail.net 줄 고층유리 닦는 남자가 내려온다 전깃줄이 가슴께를 지난다 순간의 줄십자가 아슬하다 온몸으로 쓸고 온 허공이 맑게 닦여 있다 살아 있는 시체 하나 조심조심 십자가를 내려오고 있다 바라보거나 들여다볼 수 없는 窓 수직의 매정한 단면이 그의 길이다 전깃줄이 유리를 자르고 있다 케나1 케나라는 피리가 새의 뼈로 만들어졌다는 말에 돌아가신 할머니가 떠올랐다 몸이 삭도록 일만 해 종잇장처럼 가벼웠던, 끝내는 다리뼈가 부러지고도 너무 약해 붙일 수 없어 마룻장을 기어다니던 날개 잃은 새 인골로 만들기도 했다는 케나 지하철 혜화역에서 남미의 사람들이 엘 콘도르 빠사를 취한 듯 연주할 때 죽음 저편에서 불어온 듯한 스산한 바람이 가슴을 파 케나(quena): 남미의 피리로 「엘 콘도르 빠사」를 연주할 때 쓰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