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통신

중국동포, 한국에서 겨울나기

 

박천응 朴天應

목사. 외국인노동자대책협의회 회장. 안산외국인노동자센타 대표. shimter@chollian.net

 

 

 

1. 북방의 새들은 겨울이 되면 국경을 넘어 먹을 것을 찾아 한국으로 날아온다. 이렇게 철새처럼 국경을 넘어 이주하며 노동을 하는 사람들을 이주노동자라 한다. 중국으로 떠나간 동포들이 코리안 드림을 안고 다시 한국 땅을 찾고 있으나 강제추방과 인권문제 등으로 시달리며 한국에서 비참한 겨울나기를 하고 있다.

중국동포(조선족)들이 한국을 찾는 이유는 중국에서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근로자들의 한달 임금은 작은 도시의 경우 600위안(한화 약 9만원), 대도시의 경우 1000위안(한화 약 15만원) 정도이다. 그러나 중국동포들은 한국에서 잘만 하면 한달 일해서 일년치를 벌 수 있다. 이러한 소문이 중국동포들에게는 코리안 드림이 되어 한국행을 서두르게 한다. 중국동포가 한국으로 다시 몰리기 시작한 것은 중국으로의 이주 이후 130년 만의 일이다. 한국인이 중국에 들어가 정착한 것은 1870년대이다. 한반도가 지독한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동북 지방의 한국인들이 중국으로 들어가 자리를 잡았고,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의 압제를 피해서 혹은 독립운동을 위해서 만주로 대거 이주했다. 이렇게 해서 오늘날 중국 동북 3성의 조선족사회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여 중국에 정착하여 살던 이들이 한국으로 되돌아오고 있다. 이미 1993〜96년 사이 4년간 국제결혼 형식으로 한국에 시집온 조선족이 2만 1천여명에 달했다. 현재 연변 조선족자치주 재정의 1/3은 한국의 조선족들이 보내온 송금액에서 나온다고 한다. 그렇다보니 중국동포들 사이에서 한국 이주에 대한 바람은 더욱 커지고 있다. 2002년 6월 현재 중국동포의 국내 체류자 수는 대략 12만여명으로 추정되며 그 대부분은 건설 및 써비스 직종에 종사하고 있다. 전체 외국인노동자의 77% 정도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동포 역시 수도권에 8〜9만명이 체류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2002년 11월 이후 40세 이상 국내 연고 중국동포의 자유왕래 및 제한적 취업 허용조치로 한국을 찾는 중국동포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