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지역문학의 저녁

 

 

이선욱 李禪昱

시인. 월간 『대구문화』 취재기자. 2009년 문학동네신인상으로 등단. 시집 『탁, 탁, 탁』이 있음. malmanson@naver.com

 

 

‘저녁의 시인들’이라는 행사가 있다. 매달 한번씩 대구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시인들을 초청해 이야기를 나누는 토크 콘서트 형식의 프로그램이다. 지난해 시작해 올해까지 약 20여명의 시인이 무대에 올랐다. 젊은 시인부터 원로 시인은 물론 전통과 현대를 오가는 시조시인, 그리고 교육·의료·사회운동 등 각계에 몸담고 있는 시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면면을 지닌 이들이 ‘저녁의 시인들’이라는 이름 아래 마이크를 잡고 관객들을 만났다.

지금까지 이 행사의 실무를 맡아오면서 두가지 생각이 들었다. 하나는 여전히 시인들은 달변과 거리가 멀다는 점. 다른 하나는 오늘날 시인들에게는 그보다도 거리가 먼 것들이 존재한다는 점. 이를테면 사람들의 흥미나 관심 같은 것인데, 시뿐만 아니라 문학계 전반에 걸친 이같은 현상은 어떤 면에서 불가피한 현실처럼 보이기도 했다.

달변이라 해도 불가피하기는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매체의 변화에 따라, 즉 텍스트를 중심으로 사유하던 시대가 서서히 저물어가면서 적어도 표면상으로는 문학적인 관심을 대체할 수 있는 것들이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 자체를 문제시하는 것은 문학을 다소 권력론적인 입장에서 접근한 방식이라는 생각도 든다. 그럼에도 한가지가 마음에 걸렸는데, 그러한 흐름 한가운데 지역의 문학이 있기 때문이다.

어스름이 물드는 과정처럼 문학에 대한 관심도 가장 가까운 곳에서부터 먼저 어두워지는 것 같다. 이를 지역문학과 시민 간의 관계로 좁혀 보면 좀더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저녁의 시인들’ 같은 경우도 매번 30여명 내외의 관객이 자리하지만 소위 ‘문학하는’ 사람들을 제외하면 일반 시민은 찾아보기 쉽지 않다. 행사 자체의 흥행은 둘째 치고, 대구 지역문학계 전반을 둘러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문학에 대한 관심이 어두워지는 추세라면 어째서 유독 지역부터 더 짙어지는가. 상대적으로 서울에서 펼쳐지는 크고 작은 문학 행사들이 여전히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고, 또 유명 작가들이 출연하는 행사의 경우 장소를 가리지 않고 성황을 이룬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지역문학의 상황은 더 어두워 보이기만 한다. 그 때문에 장기간의 면역으로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문학의 위기’ 같은 말이 다시 피부에 와닿는 요즘이다.

‘저녁의 시인들’이라고 행사명을 지은 데는 저녁시간대에 열린다는 이유도 있지만 이같은 지역문학의 상황을 염두에 둔 측면도 있었다. 행사의 기획과 사회를 맡고 있는 이하석 시인과도 이러한 뜻을 공유하며 좀더 의미있는 시간을 만들고자 했다. 갈수록 더 어둡게 잊힐지도 모르는, 지금 현재 대구 시단의 중요한 면모들을 알리고 기록하자는 취지였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그사이 전국 곳곳에서는 어둠을 환하게 밝히는 촛불들이 타올랐다.

 

*

 

지난겨울 대구에서도 동성로와 중앙로 일대에 많은 시민들이 모여 촛불을 들어올렸다. 당시 언론에서는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에서 펼쳐진 집회라는 데 주목하기도 했다. 하지만 과연 그곳에 모인 시민들에게도 그러한 사실이 중요했는지는 의문이다. 이들의 촛불 또한 다른 지역의 촛불과 다르지 않았다. 그것은 민주사회의 기본에 대한 질문이었고, 나아가 삶의 본질과도 직결되는 문제였다. 그리고 누군가의 손이 아닌, 오로지 제 손으로만 밝힐 수 있었던 각자의 충실한 의견이었다.

물론 관점에 따라서는 대구의 촛불집회에 대해 달리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는 온 도시가 들썩였다기보다는 상징적인 측면이 강했다고 하는 편이 맞을 것 같다. 그럼에도 이를 전후로 ‘주권’이라는 말이 다시금 빛을 찾고, 그것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에서 ‘분권’을 외치는 목소리가 더욱 힘을 받게 되었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인 듯하다. 촛불의 여파라면 여파인데, 무엇보다 이처럼 삶과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이 부각되는 풍경은 불현듯 도로를 가득 메운 촛불의 물결만큼이나 환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분명 어둠과는 대비되는 밝음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정작 분위기에만 그칠지 모른다는 우려도 든다. 실생활의 변화나 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변하는 이 시대의 이슈들을 감안하면 더욱 그러하다. 그간의 정치적 경험에 비춰 보자면 매번 대선이나 총선, 지방선거를 전후로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