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지하철을 탄 ‘호모 크리티쿠스’
정과리 비평집 『네안데르탈인의 귀환』
류신 柳信
문학평론가, 중앙대 독어독문학과 교수. 저서로 『다성의 시학』 『이카루스, 다이달로스, 시시포스』 등이 있음. pons@cau.ac.kr
정과리의 비평집 『네안데르탈인의 귀환』(문학과지성사 2008)은,‘소설의 문법’이란 부제가 보여주듯이, 황순원, 이청준, 김주영, 복거일, 윤흥길, 이인성, 성석제, 백민석 등 문단의 노·장·청 소설가의 문제작에 내재한 문법구조를 밝히는 데 주력한다.
여기서 그가 깔끔하게 총정리한 소설의 내적 문법이란‘되풀이 살면서 다르게 살기’로 괄약(括約)될 수 있다. 요컨대 소설이란 “다시 살아보기, 즉 생의 반복으로써 생으로부터 차이나는 짓”, 부연하자면 “현실의 좌절과 절망을 글로써 되풀이하여 다른 (불)가능한 현실을 꿈꾸는 방법적 장치”라는 것이다(9면). 이렇게 보면 소설의 문법이 생성되는 곳은 생의 반복과 차이가 회통하는 역설적 점이(漸移)지대이자, 절망의 나락과 희망의 심연 사이이다. 물론 반복적으로 좌절을 요구하는 현실의 내부에‘또다른 곳’(heteropia)을 기획할 수 있는 방법, 즉 되풀이 살면서 다르게 사는 방식은 각양각색, 무궁무진할 터. 부단히 새로운 이야기가 씌어질 수 있는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과리는 이 무한히 생산되는 삶의‘반복-차이’의 세목들을 유형별로 나눈다. 말하자면 그는 소설의 기본문법을 세분화하는 것이다. 문단에서 이미 정평이 난 작명가답게 그는 소설의 기본문법에서 파생된 세가지 변형문법에 각각 대위법, 중첩법, 혼종법이란 이름표를 달아준다. 여기서 문제는 이러한 소제목 아래 배치된 개개의 소설론에서 이들 변형문법의 원리가 명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그의 평문은 얄궂게도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내적 문법을 찾아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