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차분한 논어 읽기, 튀는 논어 읽기

이우재 『이우재의 논어 읽기』, 세계인 2000

김용옥 『도올 논어(1)』, 통나무 2000

 

 

성태용 成泰鎔

건국대 철학과 교수. 저서로 『오늘의 동양사상』(공저)이 있음. tysung@hanmail.net

 

 

1. 몇년 전 철학연구회의 청탁으로 시중에 나와 있는 『논어(論語)』 번역본 또는 해설서들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검토한 적이 있었다. 그 당시 30종 가까이를 검토하여 서평이라고 하기에는 좀 많은 분량인 원고지 150여매의 글을 썼다. 그토록 많은 것들 가운데 만족할 만한 수준의 저작은 몇개 되지 않아 우리나라의 동양고전에 대한 번역·해설 수준에 대하여 적잖이 실망을 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한문 공부를 겸한 교양의 수준에서 『논어』를 해설한 책들이 많았던 것은 바로 『논어』를 비롯한 동양고전에 대한 우리나라 독자층의 관심을 대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한 수준에 맞춘 번역이나 해설이, 동양고전을 제대로 이해함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현실의 삶에 적극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정도로 수준이 높아져야 한다는 것은 이 분야를 전공하는 필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바람이었다고 할 수 있다.

요즈음 들어와 동양고전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또 그것이 무엇 때문인지도 알고 있다. 바로 김용옥(金容沃)씨의 ‘노자 강의’, 그리고 그 인기를 업고 다시 이어지고 있는 ‘논어 강의’가 그러한 폭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킨 주역인 것이다. 노자 강의는 일단 논외로 하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논어 강의에 대해 살펴보면, 그 저본으로 『도올 논어(1)』이 나와 있는데 그 내용 자체가 지금까지 나와 있던 어떤 번역서나 해설서와는 전혀 다르다. 굳이 그 책을 보지 않더라도 그의 강의를 들은 사람이라면 충분히 그러할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이러한 강의에 대하여 긍정적인 또는 부정정인 시각들이 들끓는 것은 그의 노자 강의 때와 마찬가지이다.

전혀 다른 틀의 김용옥씨 『논어』 강의, 그것은 과연 우리나라 고전 번역과 해설의 영역에서 어떤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 그토록 떠들썩하게 대중의 관심을 끄는 만큼, 그 질에서도 이전의 『논어』 해설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것일까? 아니면 단순히 대중적 인기에 영합하는 일시적 쇼에 지나지 않는 것일까? 이에 답을 내리기 위해서는 차분히 그의 저작을 뜯어보는 길밖에 없다. 동양고전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번역과 해설이 있는 『논어』이기에 김용옥씨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도 이만큼 좋은 소재는 없다.

그런데 김용옥씨의 『논어』 강의보다 조금 앞서서 『논어』에 대한 새로운 해설서가 나왔음을, 그리고 그 해설서가 이전의 『논어』 번역·해설의 수준을 한 차원 높이고 있음을 아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바로 『이우재의 논어 읽기』이다. 저자가 누구임은 책 이름을 보면 바로 알 수 있다. 이렇게 자신의 이름을 당당하게 내세우고 있는 것이 두 저작의 첫번째 공통점이다. 자신의 이름을 내세운다는 것은 그만큼 그 책의 내용에 자신의 독특한 관점이 있다는 자부심의 표현일 것이리라. 이우재(李愚才)씨의 논어 읽기는 김용옥씨처럼 ‘튀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 차분하면서도 『논어』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보여준다. 우선 이우재씨의 책을 살펴보고 그 다음 김용옥씨의 ‘튀는’ 『논어』 해설을 살피는 것이 재미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이우재씨의 『논어』 읽기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차분한 가운데 『논어』를 심도있게, 또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결코 고전적인 해석에 매달려 있지는 않으며, 『논어』를 당시의 살아있는 역사적 공간 속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때문에 책의 머리 부분에 간략히 춘추전국시대의 사회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