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의 일본 민족주의는 ‘우경화바람’으로 우리에게 기억되고 있지만 그런 경향이 꼭 일본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었다.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었던 90년대 민족주의의 열풍은 냉전 이후의 전지구적 이동과 함께 ‘타자’와 ‘나’를 구분해줄 아이덴티티를 너도나도 ‘민족’에서 찾은 결과라고 해야 옳다.
그런데 이전과는 분명히 다른 형태로 가시화되기 시작한 일본의 민족주의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종군위안부문제에 그 계기가 있었다. 90년대초에 이루어진 위안부의 ‘증언’은 일본사회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고 이후 일본사회의 사상적 지형도는 위안부문제를 포함한 역사(〓과거)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