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인터뷰 | 새로운 25년을 향하여 | 기후위기
청년에게 기후행동은 ‘캠페인’이 아니다
양경언 梁景彦
문학평론가. 평론집 『안녕을 묻는 방식』 등이 있음.
purplesea32@hanmail.net
기후문제를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 있다. ‘우리에겐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UN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탄소배출량이 ‘0’이 되는 탄소중립 목표연도로 삼은 2050년을 염두에 둔 표현일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한 실감에서 나온 표현이다. 지구 곳곳이 불타거나 침수되고, 다양한 생물이 소멸하며, 이상기후 현상으로 삶의 터전을 잃는 이들이 해를 거듭할수록 속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움직임이 더는 미뤄져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기후문제의 심각성 차원에서, 동시에 지구상에서 살아가는 존재라면 누구도 이 문제를 피할 수 없다는 차원에서 ‘우리에겐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그러나 이 표현은 ‘모두’의 위기의식을 고조시키는 동시에 ‘누구의 어떤 위기인가’에 대해 더 말해져야 할 여지를 남긴다. 이를테면 미래를 살아갈 어린이·청소년과 청년세대에게는 이 표현이 더 잔인하게 다가가리라 짐작된다. 실제로 여러 기후위기 토론자리에서 ‘이렇게 이야기하는 시간에도 지구는 파괴되고 있다, 후속세대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같은 말을 자주 들어왔다. 살아온 날들보다 살아갈 날들이 더 많은 이들에게 이런 말은 어떻게 들릴까. 과연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창출해야 한다는 제안으로 받아들여질까, 절망과 위협으로만 가닿는 건 아닐까. 나아가 우리에게 시간이 없다고 할 때의 ‘우리’란 이른바 후속세대인 어린이·청소년과 청년 주체들을 동료 시민이자 동지로 여기면서 형성된 주어일까.
기후위기 대응운동의 현재와 구체적인 전망에 대해 청년 활동가에게 묻는 일은 그래서 중요하다. 한국사회 기후위기 대응운동이 안고 있는 고민과 해결을 위한 노력, 그리고 25년 뒤 미래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를 듣고자 청년기후긴급행동의 김현지 활동가에게 만남을 청했다.
그와 만나는 날(2023.4.2), 서울 인왕산에 불이 났다. 이후 4월 4일까지 사흘간 전국에서 크고 작은 산불이 53건 발생했는데, 이는 산불 통계를 작성한 1986년 이래 짧은 기간에 가장 많은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경우다. 인터뷰 중에도 스마트폰은 여러번 인왕산 산불에 대한 ‘안전안내문자’ 알림을 띄웠다. 재난경보가 실시간으로 잇따르는 가운데, 자연스레 이 인터뷰가 산천이 불탄 뒤 남겨지는 잿더미 앞에서 우리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일러주는 자리가 되었으면 하고 바라게 됐다. 김현지 활동가는 “다른 분야의 인터뷰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나누어질지, 그 이야기가 기후위기 운동과는 어떤 연결고리를 가질지 듣고 싶은 바람도 있지만, 무엇보다 제가 참여하는 청년기후긴급행동에서 끈질기게 고민하는 것을 잘 정리해 이야기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한국사회에 기후위기라는 단어가 대중적으로 확산된 계기는 ‘기후위기비상행동’이라는 이름으로 2019년 9월 전국에서 펼쳐진 대중행동이었어요. 그전까지는 환경보호라는 단어가 더 많이 쓰였던 것 같고 핵발전이랄지 좀더 개별적인 이슈로 집회가 열렸다면, 이때부터는 기후위기를 시대적 과제로 가져가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됐어요. 이 비상행동에 참여한 청년들이 ‘뭐라도 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 모여서 청년기후긴급행동을 결성하게 됐고요.
2019년 9월 전세계적으로 760만명 이상이 참여한 최대의 기후파업(climate strike)과 연계해, 한국에서도 전국 13개 도시에서 대규모 집회와 행진이 펼쳐졌다. 이는 시민사회단체와 개인으로 구성된 연대기구인 ‘기후위기비상행동’의 시작이었고, 이듬해인 2020년 청년 중심의 ‘청년기후긴급행동’이 결성되었다. 김현지 활동가는 2020년 당시 스물한살의 나이로 기후위기 대응운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한 개인의 실천을 축적하는 데서 나아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