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목소리

 

 

‘촛불’이 꺾이지 않기를

▶ 대선 이후 마음을 다잡기 힘들었다. ‘나라의 주인으로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라는 지난호 ‘책머리에’의 질문 앞에서 대답을 바로 떠올리지 못했다. 하지만 글을 읽어나가며 촛불을 경험한 우리가 “이전과 다른 주체가 되었”(2면)고 이전으로 돌아갈 수도, 돌아가지도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생겼다. 그러자 문득 ‘나라의 주인’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이 많기 때문에 오히려 저 질문에 선뜻 답하기 어려웠던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글이나 기사를 읽고 어떤 의제에 관심을 갖는 ‘작은 일’부터 시작해, 뜻이 맞는 단체에 후원을 하거나 직접 활동하는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의견을 낼 수 있다. 한 자리에 머물러 있지 않는 것만으로도 주인으로서 해야 할 일을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나와 의견이 다른 유권자나 마음에 들지 않는 정치인을 조롱하고 깎아내리는 것은 쉽다. 그러나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리의 관심이 제대로 된 방향을 향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 것 같다는 절망이 들 때면 촛불을 떠올리기로 했다. 혼자가 아니라는 생각이 우리를 살게 하고, 행동하게 하니까. 모든 ‘촛불’들이 꺾이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본다.

군대 내 폭력이나 군인에 대한 형편없는 대우 등 군에 문제가 많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일반인이 논하기에는 너무 무거운 주제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회의가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었다. 봄호 대화는 나의 그런 선입견을 깨주며 민주사회에 걸맞은 안보와 국방에 대한 명료하고 의미있는 사유를 제공해주었다. 막연히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해온 모병제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투명한 정보공개의 필요성 역시 절감할 수 있었다. 군이 앓고 있는 고질병은 한둘이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