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이한음 『호모 엑스페르투스』, 효형출판 2008

최근 교양과학서의 정체성을 묻는다

 

 

김기윤 金基潤

서울대 강사, 과학사 kiyoonkim@hanmail.net

 

 

호모엑스페르투스근대 이전의 학자들에게 경험이란 누구나 알고 있을 일상의 상식적 경험을 뜻했다. 어느 한 사람이 겪은 특수한 사건, 즉 실험으로 얻어지는 지식은 우연의 산물이며 또 인위적 가공물이어서 값진 자연지식일 수 없다고 간주되었다. 실험으로 자연에 관한 의미있는 지식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생각은 17세기 후반 서양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서서히 자리잡아가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목격한 사건, 즉 실험이 중요한 지식일 수 있음을 다른 사람들에게 설득하기 위해 당시의 실험철학자들은 갖가지 종교적·정치적·수사학적 도구를 동원해야 했다.

그렇게 형성된 실험철학, 그리고 이를 통해 형성된 근대과학이 곧장 서양사회에서 문화적 권위를 획득한 것도 아니었다. 중등학교 교육과정이나 대학 교양교육 과정에 과학이 본격적으로 포함되기 시작한 것은 실험과학이 등장하고 200여년이 지난 19세기 후반이었다. 과학을 교육과정에 편입시키기 위해서 당시 과학자들은 과학지식의 중요성을 전투적으로 전도해야 했다. 따라서 과학의 문화적 권위를 강조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강연과 저술로써 당시의 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