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도면회·윤해동 엮음 『역사학의 세기』휴머니스트 2009

탈근대의 렌즈에 비친 한일 역사학

 

 

백영서 白永瑞

연세대 사학과 교수 baik2385@hanmail.net

 

 

역사학의-세기 “아빠, 도대체 역사란 무엇에 쓰는 것인지 이야기해주세요.” 이렇게 시작되는 첫구절과‘역사를 위한 변명’이란 제목에 끌려 마르끄 블로흐(Marc Bloch)의 저서 일본어판을 어렵사리 구해 읽은 기억이 난다. 전공인 사학과 과목들에 영 흥미를 못 느끼던 1970년대초 학부생 시절의 일이다. 역사에 관한 교양서나 드라마들이 인기 높은 것과 달리 대학에서 생산하고 전파하는 역사지식은 별로 관심을 못 끄는 우리 현실에서 위의 질문은 여전히 울림이 있지 않은가. 그런데 바로 이 물음을 정면으로 다루는 영역이 역사학 자체에 존재한다. 역사학의 자기검증장치인 사학사(史學史)가 그것이다.

20세기 한일 두 나라 역사학의 역사, 곧 사학사와 본격적으로 씨름한 책 『역사학의 세기: 20세기 한국과 일본의 역사학』이 갓 출간되었다. 일본 역사교과서 논쟁을 계기로 2001년부터 시작된‘비판과 연대를 위한 동아시아 역사포럼’의 5년간 활동 가운데 마지막 두해의 성과를 주축으로 하되 일부 다른 글들을 섞어 한권으로 엮어낸 것이다.

이 책의 필자 중 하나인 토베 히데아끼(戶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