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탈근대적 목소리들을 향한 근대적 글쓰기

심진경 평론집 『떠도는 목소리들』

 

 

정혜경 鄭惠瓊

문학평론가. 문학평론가. 저서로 『매혹과 곤혹』 『한국 현대소설의 서사와 서술』 등이 있음. kornovel21@hanmail.net

 

 

혹자는 비평이 ‘번역’이어서는 곤란하다고 하지만, 작품 속의 잠재적 가능성(벤야민의 ‘순수언어’, 「번역가의 과제」)을 다른 언어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비평은 일종의 번역이라고 할 수 있다. 작품의 언어를 비평적 언어로 번역하면서 작품의 잠재성을 개별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이로써 비평은 작품을 거치되 종속적이지 않은 독자적 행위가 된다. 물론 벤야민이 강조하고자 했던 것은 ‘순수언어’라고 불렀던 ‘표상될 수 없는 이념’을 번역행위를 통해 해방한다는 데 있다. 그러나 최근 각종 이론이 작품에 앞서 내달리는 경향을 상기할 때, 먼저 비평적 번역의 ‘충실성’에 주목하는 것도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이런 면에서 심진경(沈眞卿) 두번째 평론집 『떠도는 목소리들』(자음과모음 2009)은 소중한 비평적 자산이라 하겠다. 그녀는 새로운 문학적 경향을 포착하고 끊임없이 아젠다를 탐색하여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정치한 텍스트 분석과 유려하고도 적확한 패러프레이즈(paraphrase)를 시도한다. 심진경의 글이 비평 읽는 즐거움을 안겨줌은 물론, 공감력과 설득력을 갖춘 것도 동시대 문학의 생생한 현장에 밀착해 있는 것도 모두 여기서 비롯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