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통신
토오꾜오의 학교에 자유의 바람을!
마루하마 에리꼬 丸浜江里子
1951년생. 토오꾜오도(東京都) 스기나미구(杉並區) 거주. ‘스기나미의 교육을 생각하는 모든 이들의 모임’ 및 ‘학교에 자유의 바람을! 네트워크’의 회원. 공저로 『日の丸·君が代處分: 東京の學校で何が起こっているか』 『學校に自由の風を!』 등이 있음. mrhmeri@vega.ocn.ne.jp
ⓒ 丸浜江里子 2005 / 한국어판 ⓒ (주)창비 2005
일본의 시민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벚꽃이 지는 요즘, 토오꾜오는 제갈채(諸葛菜) 꽃이 거리를 수놓고 있습니다. 이 꽃은 1938년 난징(南京)대학살이 일어난 이듬해 4월, 시찰에 나선 한 일본 병사가 학살의 참상을 목격한 뒤 충격을 받고 돌아가는 길에 자금산(紫金山) 기슭에 무리지어 피어 있는 것을 보고 ‘공양(供養)의 꽃’ ‘평화의 꽃’으로 널리 보급하기 위해 그 종자를 가져와 ‘자금초(紫金草)’라고 부르며 퍼뜨린 꽃이라고 합니다. 지금 일본 각지에는 보랏빛 선연한 이 꽃이 피어 있습니다.
5월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진달래꽃이 일본 곳곳을 물들일 것입니다. 월드컵 공동개최의 성공 이래, 일본에서는 「겨울연가」 붐도 일고 해서 한국문화가 누구에게나 친숙해졌습니다. 저 자신도 최근 10년간 네 차례나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그러나 잔잔한 수면에 큰 돌을 던져서 파문을 일으키듯이 코이즈미(小泉) 수상과 많은 국회의원, 이시하라(石原) 토오꾜오도지사 등의 야스꾸니(靖國)신사 참배가 이어졌습니다. 또한, “(일본 역사교과서에서) 이제야 이른바 종군위안부나 강제연행 같은 용어가 줄어든 것은 정말 바람직한 일이다”(나까야마 나리아끼中山成彬 문부과학성 장관) “난징(南京)에서 삼광작전(三光作戰, 중국은 중일전쟁 당시 일본군의 잔학한 전술을 가리켜 닥치는 대로 죽이는 살광殺光, 닥치는 대로 약탈하는 창광槍光, 닥치는 대로 불사르는 소광燒光을 합쳐 삼광작전이라 부름―옮긴이)은 없었다”(아베 신조오安部晋三 의원)와 같은 폭언과,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교과서의 검정통과 등 일련의 사태를 지켜보며 한국이나 중국 국민은 “도대체 일본인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 싶을 겁니다. 모처럼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던 차에 일본의 정치가들이 이렇게 찬물을 끼얹고 있으니까요.
일본에서는 코이즈미, 아베, 아소오(麻生), 마찌무라(町村) 등 부친이나 조부의 뒤를 이어 정치를 하는 2세 국회의원이 최근 정치권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여당이 매스컴에 압력을 행사하고, 언론의 우경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1994년에 여당인 자민당의 숙원이던 소선거구제가 성립하고부터는 국회 안에서 비판세력이 현저히 줄어들어 민의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채 ‘유사법제’(有事法制, 전시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자위대의 출동 등 대응방침을 명시한 법제–옮긴이) 같은 악법이 차례차례 통과되는 등, 여당의 횡포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일본의 시민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특히 공립학교에서 ‘히노마루(日の丸)·키미가요(君が代)’를 강요하는 이시하라 토오꾜오도지사의 행동이나 교과서 문제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토오꾜오 시민의 생각과 활동을 전하고자 합니다.
이건 쇼오와(昭和)15년의 통지서가 아닌가
2004년 3월 도립학교의 졸업식은 일본의 교육사에 오점으로 남을 것입니다. 토오꾜오도 교육위원회가 헌법을 무시하고 교사와 학생, 학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