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 시선과 시선

 

통일을 열어가는 문학의 길

6·15민족문학인협회 『통일문학』 창간호

 

한분순 고인환

 

 

길이 없는 곳에 글이 있다

『통일문학』 발간의 막전막후

한분순(韓粉順)│시인

 

 

하늘에서 쏟아지는 푸른 뜨거움을 받아 마음까지 타는 듯 더운 나날이다. 열정과 갈증의 두 면을 지닌 여름날. 이것은 『통일문학』 창간호를 만들며 거쳐온 여정과도 흡사하다. 싱그러운 녹음 앞에서 서늘한 가을 단풍을 떠올리는 것도 『통일문학』 발간의 첫걸음을 내딛던 날이 생각나기 때문이다. 2006년 6·15민족문학인협회 결성식에 참석하러 가던 길에 마주한, 가을을 거느린 금강산의 단풍. 그 고운 자태는 북으로 향하는 굽이진 산길을 수려하게 물들이고 있었다. 볼수록 어딘지 말간 슬픔이 배어나와 더욱 눈에 들던 단풍의 아름다운 매무새. 하지만 현실은 군사분계선으로 차갑게 채색되어 있었고, 분단 60년 만에 처음 남북 작가들이 함께 문학잡지를 만드는 것은 고단함이 동행하는 여정이 되었다. 이런 까닭이었을까. 그날 금강산 기슭에 내려앉은 가을 햇살도 가슴 저리게 서글픈 빛이었다.

남한도 북한도 아닌, 매캐한 공기에 휘감긴 낯선 타국에서 『통일문학』 창간기념식이 열린 것은 올해 2월이었다. 문학으로 하나된 마음이 분단현실 속에서 만날 수 있는 곳은 남북 어느 곳도 아닌 중국의 낯선 도시, 션양(瀋陽)이었다. 새벽부터 서둘러 인천공항에 모인 남측 작가들은 6·15민족문학인협회 집행위원을 맡고 있는 나와 부회장 신세훈 시인, 현명한 유머와 활달함을 지닌 정도상 소설가, 넘치는 얘깃거리로 좌중을 즐겁게 하는 김형수 시인, 부지런한 활력과 찬찬한 성품의 윤석정 사무국장 등.

션양공항에 마중나온 안내원을 따라 버스를 타고 숙소로 가는 길엔 바람을 타고 도시를 휘감은 황사가 머리를 무겁게 했다. 숙소에서 짐을 풀고 내려다본 션양 거리는 누런 먼지와 매캐한 석탄 가스 냄새에 감싸여 있었으며, 중국에서 열 손가락 안에 드는 큰 도시인만큼 뿌연 시야 사이로 높다란 현대식 건물이 즐비했다.

남북 작가들이 설레는 심정을 품고 기념식을 치른 곳은 션양의 조선족 거리 서탑가에 있는‘모란관’으로, 평양에서 운영하는 소박한 한식당이었다. 반년간(半年刊) 발행을 목표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