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틱낫한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
틱낫한 『화』, 명진출판 2002
장석만 張錫萬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skmjang@orgio.net
올해 4월에 출간된 틱낫한(Thich Nhat Hanh)의 『화』(Anger, 최수민 옮김)가 베스트쎌러가 되면서 지금까지 약 30만부의 책이 팔렸고, 연말까지 50만부 정도가 팔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틱낫한의 폭발적인 인기로 인해 예전에 출판되었던 그의 책들이 재출간되고 있으며, 번역되어 있는 책만 해도 15종이 넘는다. 무엇이 그의 책에 이런 갑작스런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일까?
틱낫한이란 이름을 한자로 하면 석일행(釋一行)이다. 즉 그는 일행스님이다. 1926년 베트남에서 태어났으므로, 올해로 만 76살이다. 그는 베트남전쟁이 한창이던 때, 반전운동을 주도하다가 베트남정부의 미움을 사서 어쩔 수 없이 프랑스에 망명했다. 지금도 그는 프랑스에 머물면서 수행공동체인 ‘자두마을’(Plumvillage)을 이끌고 있다. 그의 여러 책 중에서 지금 우리나라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화』를 중심으로 그의 기본주장을 살펴보고, 그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던지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불교는 사람 모두에게 이미 ‘부처’가 될 수 있는 조건이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