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 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평범한 일상을 위한 고군분투
정주아 鄭珠娥
문학평론가, 강원대 국문과 교수. 저서 『서북문학과 로컬리티』, 주요 평론으로 「육체성의 형식과 리얼리티」 「계모찾기, 버림받은 세대와 냉혹한 모성의 세계」 등이 있음.
jjua@kangwon.ac.kr
올 상반기는 인류를 혼돈으로 몰아넣은 전지구적 전염병의 터널을 빠져나온 시기로 기록될 것이다. 물론 여전히 바이러스의 위협이 남아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상의 회복이라는 말은 선뜻 나오지 않는다. 갑작스레 죽음을 맞은 이들, 그 죽음을 마음에 묻은 가족과 친구들, 멈춰버린 도시에서 망연자실했던 자영업자들…… 그 삶이 어떻게 회복될 수 있을까. 한번 각인된 상처를 없앤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일상의 회복이란 단순히 재난 이전 상태로의 원상복구를 가리키는 말은 아닐 것이다. 개별 인간의 사정 따위는 봐주지 않는 시간 속에서, 좀더 익숙한 방식으로 그 흐름을 견디려는 인간의 생존본능이 다시금 발동되는 국면이라 할 수는 있어도 말이다. 평범한 일상이 얼마나 취약한 기반 위에서 유지되고 있었는지를 그 어느 때보다 절감하게 된 지금, 이 계절의 소설들이 보여주는 평범한 일상을 위한 고군분투를 따라 읽어보기로 하자.
백수린 『눈부신 안부』(문학동네)
백수린의 장편소설 『눈부신 안부』는 유년기에 언니를 잃은 후 자신의 마음을 감추기 시작한 ‘나’의 이야기이다. 사랑하는 이의 죽음이라는 충격에 더해 ‘나’는 전날 언니와 싸우면서 학교 수업 ‘땡땡이도 못 치는 범생이’라 놀렸던 사실을 떠올린다. 가스 폭발사고 현장에 있었다는 언니는 왜 하필 그날 아프다며 조퇴를 했던 것일까. 언니의 죽음 이후 ‘나’의 일상은 죄책감과 대면하는 시간으로 채워진다. 자꾸만 다투는 부모의 목소리, 사고로 죽은 아이의 동생이라는 주변의 눈초리가 ‘나’를 따라다닌다. ‘나’는 더이상 누구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겠다고 결심한다. 누군가의 걱정거리가 되지 않기 위해, 누군가의 행복을 위해 스스로를 감추면서 거짓말을 하기 시작한다. 물론 그런 거짓말이 쌓일수록 내쳐지고 소외되는 것은 자기 자신이다.
타인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 자기 자신은 사라져도 괜찮다는 태도. 물론 ‘나’는 이런 태도가 장차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다. 이 대목에서 『눈부신 안부』는 1960, 70년대 ‘파독간호조무사’가 되어 독일로 떠났던 한국인 여성들의 생애를 주요 서사로 도입한다. 그도 그럴 것이 가족의 생계비와 동생의 학비를 벌기 위해 낯선 나라로 떠난 가난한 개발도상국 누이들의 역사, 현대판 효녀 심청의 상징이 바로 그 지점에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