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통신
학생회와의 행복한 재결합을 꿈꾸며
이호정 李鎬汀
부산대 영어교육과 4학년. nina610@hanmail.net
1. 대학사회는 올해도 어김없이 ‘등록금 투쟁’과 함께 새봄을 맞을 것 같다. 지난 2월 2일에는 전국대학 총학생회장단이 모여 등록금 인상 저지 성명서를 발표했다. 요지는 ‘1989년 이후 3〜4배나 증가해온 살인적인 등록금 인상을 멈추고 국가 교육재정 6%를 확보하라. 교육의 국가 책임을 회피하는 교육정책을 철폐하라’는 것이다. 학생들의 땀내나는 몸부림(?)으로 가득 뒤덮였던 작년 봄 캠퍼스를 떠올리니 올해는 또 어떻게 지난한 싸움을 이어갈지 안쓰럽다. 새 학기의 흥분을 살풋 안은 채 학문과 교양활동에 전념하는 진정한 상아탑의 봄을 맞을 수 없는 우리 현실이…… 그러나 학교 행정권자들이나 정부와의 싸움에도 기죽지 않고 나서는 대학생들의 모습은 방향성을 잃은 듯 휘청대는 이 시대에 아직 남은 희망의 씨앗으로 보이기도 한다. 사람에 따라서 이런 행동이 대학생들의 철없는 객기나 시대착오적 행위로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비민주적인 기성질서에 안주하려고만 하기보다 부당하다고 믿는 것에 대항하려는 정열, 그것은 점점 더 힘들어져가는 이 시대에는 특히 더 소중하게 품어야 할 부분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많은 학생들을 이런 활동 속에 모아낼 ‘학생회’가 이미 위기에 봉착했다는 이야기가 90년대 후반 이후 끊이지 않고 들려온다. 정치적인 문제는 더이상 대학생들의 관심사가 아니라는 이야기도 이제는 새로운 뉴스가 아니다. 그렇다면 대학사회에서 학생회는 이제 더이상 아무런 역할을 할 수 없는 공간인가? 지금 대학생들 의식 속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2. 대학생의 한 사람으로서 시대와 사회의 산물인 나 자신의 경우부터 돌아보자. 그간 대학생들의 성향을 거칠게 표현해서 ‘이념적 정당성 추구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가진 개인주의로의 변화’라고 한다면 나는 그 중간 정도에 어정쩡하게 서 있는 인물이리라. 『씨네21』을 애독하고 영화·비디오·만화 등의 문화상품을 밤새워 소비하고 즐긴다. 개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