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

 

한명숙 재판 또는 5만달러라는 ‘맥거핀’

 

 

조광희 趙光熙

1967년 서울 출생. 민변 사무차장과 여러 영화사의 고문변호사로 일했고, 현재 영화제작사 ‘봄’ 대표이자 변호사로 활동중이다. 최근 한명숙 전 총리 재판의 변호인단에 참여했다. hehasnoid@gmail.com

 

 

세상이 진실이 아니라 욕망에 의해 움직이고, 법은 정치의 또다른 몸짓에 지나지 않는 시대에 선친은 왜 내게 법률가가 될 것을 권유했을까. 그는 아마도 삶이 비루하다는 것을 잘 알았고,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이 법률가가 되는 거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사내는 법률가의 삶 또한 비루하기는 마찬가지라는 것은 잘 몰랐을 것이다. 나는 왜 사소한 반항의 몸짓을 보이다가 최면에 걸린 사람처럼 그의 말대로 법률가가 되었는가. 많은 청춘이 그렇듯이 자신이 진실로 원하는 게 무엇인지 제대로 알지 못했고, 알았다고 한들 그것을 선택한 결과가 쓰라린 것이 될 경우에 감당할 자신이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17년째 변호사라는 직업을 가지고 살고 있지만, 나는 이 직업이 몸에 맞지 않는 옷처럼 늘 어색하다.

나는 이 직업이 환경미화원이나 의사, 장례지도사 같은 종류의 일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뭔가 문제가 생긴 것을 정리하거나 고치는 일을 한다. 그런데 무엇을 새로이 발견하거나 창조하지 않는 일이 그다지 재미있을 리 없다. 만일 이런 일을 그 자체로 즐거워한다면 남다른 취향을 가진 것이리라. 이런 일은 대개 댓가 때문에 하거나 소명 때문에 한다. 환경미화원이 거리를 깨끗하게 하면 길을 걷는 사람들이 행복해지고, 의사가 병을 고치면 환자들이 웃음을 찾으며, 장례지도사가 마지막 떠나는 길을 지켜주면 망자가 평안을 얻는다.

그러나 변호사의 경우에는 간단하지 않다. 변호사에게는 의뢰인이 있고, 의뢰인의 상대방이 있다. 의뢰인이 옳지 않은 한, 변호사가 하는 일이 세상에 반드시 보탬이 되지는 않는다. 변호사는 언제나 가치의 문제에 직면한다. 가치의 바다에서 헤엄치는 상어라고나 할까. 그런데 늘 가치를 고민하면서 일하는 것은 일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만들며, 가치를 도외시하다가는 어느 순간 악마를 대변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 직업은 번듯해 보이지만 제대로 된 신사숙녀가 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런지 나는 남자화장실에 ‘신사용’이라는 표시가 붙어 있으면 ‘나 같은 사람이 들어가도 되나’ 생각하곤 한다. 아마도 언제까지나 이 직업에 대한 회의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일하고 있을 거다. 하지만 괜찮다. 사는 것이 다 그렇다. 살다보면 모든 회의를 잊고 온전히 자기 자신인 것 같은 순간을 맞을 때가 있으리라.

 

*

 

이제 1심 재판이 끝났을 뿐이고, 검찰은 또다른 건으로 단단히 벼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재판에 대해 변호인이 너무 왈가왈부하는 것은 자제하는 게 맞겠다. 게다가 이미 언론과 열성적인 블로거들에 의해 생중계하듯 보도된 이 재판의 전말에 관해 구구절절하게 말하는 것은 자칫 진부할 따름이다. 깜짝 놀랄 만한 속사정을 말하지 않는 한, 재판 참가자의 이야기라는 이유만으로는 지루함에 대해 용서받지도 못할 것이다. 물론 사람들이 들으면 놀랄 만한 사정을 내가 전혀 모른다고 하지는 못하겠다. 그러나 그런 사정들은 말할 수도 없다. 어쩌면 세월이 흘러 이 재판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거의 사라졌을 때 어정쩡한 술자리의 분위기를 달래기 위해서 그런 사연들을 꺼내게 될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중 어떤 사연은 육체의 종착역일 뿐 아니라 사연의 안식처이기도 한 무덤까지 안고 가는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숨쉴 틈도 없이 한달여 사이에 진행된 1심 재판을 마친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느낌만을 느슨하게 말하고자 한다.

법률적으로만 보면 이 사건은 무척 단순하다. ‘전직 국무총리가 2006년 12월 20일 총리공관에서 점심식사를 하면서 전 대한통운 사장 곽영욱씨로부터 5만달러의 뇌물을 받았는가, 아니면 받지 않았는가.’ 엄격한 의미에서 그 진실을 완전하게 아는 사람은 피고인(편의상 이렇게 부르기로 한다. 조금 결례인 듯하나, 인품이 고매한 분이니만큼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