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 다시 읽고 싶은 책

 

 

허승철 『우크라이나 현대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11

‘새로운 그리스’ 우끄라이나의 전사(前史)

 

 

이동기

李東奇 / 강원대 평화학과 교수 leedongki@kangwon.ac.kr

 

 

200_453

“우크라이나는 새로운 그리스가 될 것이다. 우크라이나의 아름다운 하늘, 이 민족의 타고난 쾌활함과 음악성, 비옥한 땅 등은 장차 깨어날 것이다. 이전에 고대 그리스인이 그랬던 것처럼, 수많은 미개한 소수민족들은 문명국이 될 것이다. 우크라이나의 국경선은 흑해까지 다다를 것이며, 헝가리와 이민족들, 그리고 폴란드와 러시아의 한 지역은 이 새로운 문화에 참여할 것이다. 북서쪽에서 시작된 이 정신은 잠자고 있는 유럽으로 건너와 정신적으로 유럽을 지배할 것이다. 이 모든 일은 임박했으며 장차 틀림없이 일어날 것이다.”(103면) 독일의 역사철학자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가 『1769년 여행일지』(Journal meiner Reise im Jahre 1769, 김대권 옮김, 인터북스 2009)에서 우끄라이나를 높인 지 250여년이 지나서야 그 말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본다.

2014년부터 개시된 러시아-우끄라이나 전쟁이 2022년 2월 전면전으로 확대되면서 그동안 세계지도의 구석에서 웅크리고 있던 우끄라이나는 세계사의 전경(前景)으로 진입했고 ‘세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