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

 

 

7911

손유미 孫柔美

동덕여대 문예창작과 3. 1991년생.

w0thsdbal0w@hanmail.net

 

 

 

달무리

 

 

씨놉시스

작은섬마을. 작은 횟집. 어느날 영은이 집으로 돌아온다. 영은은 자신의 할머니 신을 받은 무당이다. 영은의 엄마인 미숙은 그런 영은이 편하지 않다. 미숙은 한평생 무당의 운명을 대물림받지 않기 위해 애써왔다. 미숙은 무당이 된 영은을 외면하는 한편, 영은이 다시 돌아온 이유를 궁금해한다. 미숙의 남편인 춘길은 미숙과 닮은 영은을 예뻐하면서도 안쓰럽게 여긴다. 무당으로서의 굴레를 벗어난 미숙은 자신의 삶을 지키려 하고, 영은은 그 굴레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춘길은 이 둘을 안타깝게 지켜본다. 자신의 운명에 거부감을 느끼는 둘과는 달리 춘길은 자신이 받은 운명을 직시하기 위해 미숙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바다로 떠난다. 춘길이 떠난 뒤 미숙의 친구 문희는 폭력을 행사하는 남편에게서 벗어날 궁리를 하던 도중, 영은을 만난다. 문희는 영은에게 남편의 저주를 부탁하지만 영은은 이를 거부한다. 이를 본 미숙은 영은에 대한 거부감을 조금은 없애게 된다. 그리고 그날 밤 영은과 미숙은 달빛 아래에서 서로의 속마음을 터놓고 두려움과 아픔을 나눈다. 미숙은 영은과 함께 지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바다로 떠난 춘길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게 된 뒤 또다시 어쩔 수 없는 대물림의 운명을 느끼게 된다. 모든 것을 포기하고 떠나기로 결심한 미숙에게 영은은 자신의 짐을 넘겨준다. 영은 위로 깨끗한 달빛이 쏟아진다. 막.

 

*지면사정으로 작품의 일부만 싣습니다. 희곡 전문은 대산문화재단 홈페이지(www.daesan.or.kr)에서 보실 수 있습니편집자.

 

 

등장인물

영은, 신, 미숙, 춘길, 문희, 경찰

 

배경

현대의 시간. 작은 섬마을의 횟집.

 

무대

관객석을 바다로 한다. 관객석에서 보이는 무대의 정면은 횟집의 풍경이다. 가게 간판과 어항, 입구가 보인다. 그 앞에는 평상이 놓여 있다.

 

 

1.

 

암전된 무대. 달이 떠 있다. 구름에 가려 선명하진 않지만 달이다. 파도 소리 들린다. 무대 중앙 두개의 촛불이 켜진다. 신과 영은, 촛불을 들고 서 있다. 파도 소리 잦아든다.

달무리 뜨는

영은 달무리 뜨는

외줄기 길을 홀로 가노라.

영은 나 홀로 가노라.

옛날에도 이런 밤엔 홀로 갔노라.

영은 홀로, 갔노라.

(사이)

맘에 솟는 빈 달무리 둥둥 띄우며

나 홀로 가노라.

영은 울며 가노라.

(사이)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