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_480

이지은 李知恩

중앙대 문예창작전공 3학년. 2000년생.

yexxje@naver.com

 

 

 

뮤트의 세계

 

 

이명이 시작되었다, 트로트 좀 틀어봐라.

 

그가 바닥에 누워 말하면 우린 쪽방으로 맥없이 밀려난다. 아무래도 나, 조만간 트로트 반대시위에 나갈 것 같아. 오빠는 말한다. 맨 앞줄에서 깃발을 흔들고 시간이 남으면 청와대에 국민청원을 올릴 것 같아. 우리는 손만 꿈지럭댄다. 일곱시에 저녁 미사가 있어. 그때까지 우리가 거실을 되찾을 수 있을까. 나는 눈을 감고 성호를 긋는다.

 

들을 수 없어서 가장 소란스러운 사람이 된 나를 이해해주렴. 어차피 나는 칠십에 죽을 거란다. 너희들의 말을 알아듣진 못해도 진동은 느낄 수 있단다. 내가 사막에 있었을 때도 진동은 늘 가까이에 있었지. 그 움직임에 가만히 귀를 기울이다보면 비명 한두개쯤은 모른 척할 수 있었단다.

 

우리는 아주 공평하다구요. 여기서도 들을 수 있는 건 비브라토밖에 없잖아요. 문틈 사이로 익숙한 화음이 쌓이고 오빠는 방금 누군가 장기 하나를 토해낸 것 같다고 소곤거린다. 소리에도 날이 있다는 말. 잘 갈린 소리는 무나 당근도 자를 수 있다는 말. 어떤 소리는 깨지기 쉬우므로 잘 다뤄야 한단다. 굴절은 많으면 많을수록 근사하단다. 우리가 귀를 막았으므로 그의 문장은 이해되지 않는다. 파동이 되어 흩어진다.

 

사막에도 백야가 있단다. 아무렴, 교과서 같은 데선 등장하지 않는 상식이지. 위성보다 더 명료한 빛들이 매일 밤 우리 머리 위로 떨어진단다. 산발한단다. 밝아서 잠들 수가 있어야지. 그때 못 꾼 꿈을 지금 몰아서 꾸는 거란다. 그가 중얼대면 나와 오빠는 가만히 앉아 손바닥을 편다. 칠십부터 육십구, 육십팔, 육십칠…… 하나씩 빼어본다.

 

이명이 계속되는구나, 소리 좀 키워봐라. 그는 오로지 들리는 것만 듣는다. 나와 오빠는 서로의 어깨에 기대 눈을 감는다. 일곱시에 저녁 미사가 있는데. 십자가 아래서 그를 위해 성호를 그어야만 하는데. 그는 흥얼거린다. 트로트는 심장을 반으로 쪼개 하나를 내어줄 것처럼 불러야 한단다. 그는 이제 잠자코 듣는다. 결국에는 진동과 나…… 그게 다란다. 그는 적막하다.

 

 

계육공장, 닭들은 춤을 추고

 

 

방 안에 있는 내가 문득 낯설고 기이할 때면

레깅스를 골라 입고 강변을 달립니다

무릎을 스치는 질긴 나일론의 입김

잘근잘근 씹어도 끊어지지 않을 것만 같습니다

오늘도 내 허벅지 위에서 몇개의 동물이 멸종했군요

괜찮습니다, 우는 건 돈이 들지 않으니까요

 

심장 언저리에서 폭죽이 터지는 기분이 들 때쯤

시야 안으로 계육공장 하나가 들어옵니다

오늘의 냄새는 혼탁한 노랑, 골이 찌르르 울리고

일꾼 몇은 배수구 위에 멍하니 앉아 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