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1499년 가르나따, 문명의 교차로
김재기 장편 『알라 할림』(전3권), 이론과실천 2002
한기욱 韓基煜
인제대 영문과 교수 englhkwn@ijnc.inje.ac.kr
사람들은 복잡하고 불가해한 사태에 직면할수록 쌈빡한 해명에 솔깃해지는 것일까. 보스니아 내전과 코소보 사태, 특히 작년의 9·11과 아프간 전쟁을 거치면서, 냉전 이후 잦아지는 지구촌 곳곳의 분쟁 원인을 문명간의 ‘충돌’에서 찾는 발상이 인기를 누렸다. 갈수록 극단으로 치닫는 팔레스타인과 체첸의 분쟁 역시 이런 생각을 부추긴다. 이스라엘 쪽의 무단점령은 언급조차 않은 채 팔레스타인 쪽의 자살폭탄테러를 이슬람 원리주의의 산물로 부각하는 서구 매스컴들 역시 이런 생각을 유포하는 데 한몫 톡톡히 했다. 에드워드 싸이드는 이런 ‘문명충돌론’이 이슬람문명과 기독교문명 사이의 복잡다단하고 근본적으로 호혜적인 관계를 왜곡하는 위험한 발상임을 누차 경고했지만, 당사자들조차 그의 호소를 귀담아듣는 것 같지 않았다. 김재기(金在起)의 역사추리소설 『알라 할림』이 반가운 것은 ‘문명충돌론’의 손쉬운 도식에 맞서 두 문명의 관계를 새롭게 궁구하기 때문이다.
작가의 문제의식은 이 소설의 시공간적 배경에 이미 함축되어 있는 듯하다. 가령, 이야기의 무대를 1099년 십자군의 예루살렘 약탈이나 1435년 무슬림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