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2 지방선거에서 경상남도 도지사에 출마한 야권단일후보인 무소속 김두관 후보와 집권여당의 이달곤 후보는 양보할 수 없는 공방을 펼쳤다. 4대강사업 중단 등 당시 쟁점 중에는 ‘민주도정협의회’를 둘러싼 논쟁도 포함되었다. 민주도정협의회는 김두관 후보가 민주노동당 강병기 경남도지사 예비후보와 함께 야권 선거연합과 후보단일화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연합정부 또는 공동지방정부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제시한 것이다.
경남은 정치적으로 한나라당의 아성으로 여겨져왔다. 1990년 노태우・김영삼・김종필의 3당 합당 이후 민자당-신한국당-한나라당으로 이어지는 흐름에 속해 있었다. 지역정서를 공유하지만 행정구역상 경남과 분리된 이웃 부산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지역주의 정치 종식을 외치며 시장선거에 연거푸 도전했지만 한나라당을 앞선 적이 없었다. 부산은 대도시로서 야도(野道)의 전통이 있지만 경남은 도농복합형으로 노령층 비중이 높은 농어촌을 포함한다. 지금도 경남의 국회의원 분포를 보면 17개 지역구 가운데 야당 소속 국회의원은 3명에 불과하다. 어느 야당도 한나라당과 대등하게 경쟁할 세력과 지지를 확보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하지만 지방선거를 앞두고 중앙정치권과 마찬가지로 경남에서도 선거연합과 후보단일화를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경남의 야당과 시민사회는 야권연대와 후보단일화 없이는 선거에서 대패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시민사회에서는 ‘희망자치만들기 경남연대’를 발족시켰고, 지역조직이 없는 창조한국당과 독자노선을 고수한 진보신당을 제외한 야3당(민주당・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은 정당・시민사회 연석회의를 출범시켜 야권연대 논의를 가속화했다.
후보단일화는 후보 당사자의 의사를 존중하기로 하여 민주노동당 강병기 예비후보와 무소속 김두관 예비후보의 협상이 진행되었고, 4월 21일 후보단일화를 위한 3개 합의사항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합의문에는 후보단일화 방법, 단일화 이후 공동선거운동, 그리고 공동지방정부 구현을 위한 ‘민주도정협의회’ 구성이 명기됐다. 후보자간 합의에 따라 도민 여론조사와 시민배심원의 전화조사를 통해 김두관 후보가 야권단일후보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달곤 후보를 물리치면서 한나라당의 15년 도정(道政) 독점에 종지부를 찍었다.
2. 거버넌스 기구로서의 민주도정협의회
우리나라 지방자치는 15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엄밀히 말해 지방에 지방정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지방자치단체일 뿐이다. 현재까지는 ‘지향으로서의 지방정부’라는 표현이 정확할 것 같다. 자치의 영역도 매우 협소하고 여러 방면으로 분리되어 있다. 광역자치단체는 종합행정의 시・도지사와 교육행정의 교육감으로 나뉘어 있고, 중앙정부의 조달청, 보훈청, 국토관리청, 환경청, 고용노동청 등 많은 특별지방행정기관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기초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의 권한의 폭은 더욱 좁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