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조명 | 인터뷰

 

박민규,라는 문학 발전소

 

 

황정아 黃靜雅

문학평론가. 주요 평론으로 「이방인, 법, 보편주의에 관한 물음」 「묻혀버린 질문: ‘윤리’에 관한 비평과 외국이론 수용의 문제」 등이 있음. jhwang612@hanmail.net

 

박민규-효과1_fmt

朴玟奎 1968년生. 소설가. 소설집 『더블』 『카스테라』, 장편소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핑퐁』 『지구영웅전설』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이 있음. ⓒ 송곳

 

‘웰컴 투 박민규 월드’라는 광고문구가 과장으로 느껴지지 않을 만큼 박민규의 『더블』은 여러 면에서 하나의 ‘세계’를 구축한 느낌이다. (‘씽글’ 아닌) ‘더블’이 주는 수적 효과와 그 독특한 디자인도 그렇거니와, 무엇보다 이 작품집에 실린 18편의 단편이 펼친 스펙트럼의 다양함이 독자에게 ‘세계일주’와도 흡사한 경험을 주는 것이다. 우리는 『더블』을 읽으며 담담하고도 애잔하게 죽음의 ‘근처’를 한동안 서성인 다음, 돌아서서 비행선을 쫓고 대리운전을 뛰고 아치다리에 오르는 익숙하고도 아득한 생활전선을 함께 넘나들었다가, 곧장 지구 내부의 틈으로 뛰어들어 인간 종의 심연을 들여다보게 된다. 아스피린이 하늘에 둥둥 떠 있는 일상 속의 예외에 익숙해져가면서 짬을 내어 다른 행성에 다녀오는 한편, 상식에서 벗어난 무협의 고수들과 불멸의 싸이코패스를 만나고, 또 아득한 과거의 쓰라린 생존투쟁을 안타깝게 지켜보다가 아예 어딘지 모를 곳의 무언지 모를 일을 목격하며 지금 여기의 실감을 의심한다. 일상이라면 일상이랄 수 있다, 하는 식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이 모든 경험은 분명 어떤 임계점에 근접하거나 도달해 있다. 그러니 더 정확히 말하면 우리는 이 작품집을 통해 ‘세계의 경계’를 더듬으며 돌아보았다 할 수 있는데, 『더블』의 독서가 풍부하면서도 치열한 경험이 되는 것이 그 때문이리라.

따라서 작가 박민규와의 인터뷰는 이제와선 다소 식상하다 싶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