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조명 | 작품론

 

실종

편혜영 소설집 『저녁의 구애』

 

 

허윤진 許允溍

문학평론가. 평론집 『5시 57분』이 있음. hdthoreau@hanmail.net

 

 

3810꽤 오래전의 이야기로 돌아가보자. 편혜영의 첫번째 창작집 『아오이가든』(문학과지성사 2005)에 수록되지 않았던 그녀의 등단작 「이슬털기」(2000)로. 그녀가 처음 온 곳에서 그녀가 지금 있는 곳을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르므로.

중심인물인 지은은 선을 본 지 한달 만에 결혼한 ‘낯선’ 남편을 뒤로 하고, 만삭이 다 된 몸으로 진도에 가서 씻김굿을 본다. 그 씻김굿은 자신의 첫사랑이자 자신이 처음 임신했던 아이의 아버지인 선배의 혼을 달래기 위한 것이었다. 이슬털기는 씻김굿의 한 절차로, 망자의 혼이 마르고 깨끗해야 환생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초해 있다. 한때 목숨보다 사랑했던 존재들(연인과 그의 아기)을 현실의 세계로부터 떠나보내기 위해, 그리하여 ‘새로운’ 남편과 그의 아이와 ‘새로운’ 공간인 아파트에 적응하기 위해, 지은은 제의를 치른다.

「이슬털기」에서 회사원인 지은의 남편은 쥐와 고양이가 들끓는 오래된 아파트 단지에 집착하고 있었고, 지은은 인물(남편)과 공간(아파트 단지) 모두에서 거리감을 느끼는 것처럼 보였다. 역설적이게도 첫 소설에서 배경막에 머물렀던 이런 착실한 회사원과 그가 사는 아파트, 그리고 그 세계를 엄습하는 재앙의 분위기는 이후의 소설에서 편혜영적인 세계를 이루는 기본 골격이 되었다.

죽음이라는 절체절명의 사건 앞에서 산 자와 죽은 자를 모두 위로하는 씻김의 제의는 성공적이었는가? 안타깝게도 언어적 씻김굿은 처음부터 실패가 예정되어 있었던 모양이다. 사람들이 죽은 연인의 물건을 모두 태울 때, 자신과의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