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단과 현장

 

인간의 오만함

대지진과 원전사고를 겪으며

 

 

사까모또 요시까즈 坂本義和

토오꾜오대 명예교수. 세계적인 국제정치학자이자 평화이론가로, 1970년대부터 일본의 전쟁책임과 과거사 청산, 미일안보조약 개정, 대북관계 개선 등에 대해 발언과 연구를 해왔다. 저서로 『地球時代の國際政治』 『地球時代に生きる日本』 『相對化の時代』 등이 있다.

  

 

삼중의 충격

311일, 첫 흔들림이 왔을 때 나는 어쩐지 평소의 지진과는 다른 이상함을 느껴 집에서 뛰어나왔다. 땅이 좌우로 심하게 흔들렸고, 서 있을 수 없었다. 정원으로 내려오는 계단의 철제기둥을 붙잡고 몸을 지탱하고 있자니, 뜰에 있는 나무가 잔가지 끝까지 흔들리고 있었다. 여태껏 경험해본 적 없는 지진이었다. 토오꾜오에서조차 그러했다.

순간 머리를 스쳐간 것은, 성난 자연 앞에서 내가 이렇게나 작고 무력한 존재였나 하는 생각이었다. 뒤이어 ‘환경보호’라는 말이 떠올랐다. 이것은 얼마나 인간중심의 관념인가. 환경을 인간이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환경 인류의 생존을 보호해준 것이다. “지구에게 상냥히”라는 슬로건1)은 인간의 무의식적인 교만이며, 인간에 대해 생사여탈의 힘을 가진 ‘지구 상냥하게’ 대해줄 때만 인류는 살아갈 수 있다는 직감이 들었다.

다행히 토오꾜오는 정전을 면했기에, 텔레비전을 보니 이내 무시무시한 높이와 기세로 몰아치는 쓰나미의 영상이 나타났다. 인간의 오만을 철저하게 때려눕히는 듯한 노도(怒濤)였다. 건물들을 하나도 남김없이 무너뜨리고, 필사적으로 도망치는 사람의 형체를 일순 삼켜버렸다. 몇백 몇천의 목숨이 바다로 떠내려간 것일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간발의 차이로 살아남았을까. 꿈틀거리며 기어오르는 거대한 뱀의 무리처럼, 검은 물결이 속속 마을을 삼켜갔다.

가진 것 없이 피난소의 추위를 견디어내는 사람들의 영상을 보니, 패전 후 겨울철 난방이 되지 않는 건물에서 내핍생활을 하며 체험한 추위가 뼛속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