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평론가. 주요 평론으로 「문학을 위한, 타자를 위한 변론: 박민규론」 「실패의 존재론: 김현의 문학론을 읽는 방법」 등이 있음. finhir@naver.com
김애란(金愛爛)의 첫 장편 『두근두근 내 인생』(창비 2011, 이하 『두근두근』)은 생의 싱그러움만으로 스스로를 맹렬히 증명하는 청춘에 대한 찬가다. 소설을 읽는 내내 독자는 박동하는 생의 기미로 때로는 야살스레 설레어하고, 한편으로는 가슴 뻐근하게 조여오는 생의 지리멸렬에 아파하면서, 우리의 삶이라는 것이 이토록 애잔하면서도 찬란한 계절의 색에 물들어 있었음을 절감할 것이다. 어느새 제멋대로 퍼져나가는 청춘의 감염력에 장악되어,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밀도 높은 긍정에 도달해 있을 것이다.
요약하면, “이것은 가장 어린 부모와 가장 늙은 자식의 이야기다.”(7면) 나이는 열일곱이지만 “아버지도 이제 다 컸구나”(48면)라고 되바라지게 말할 수 있는 아이, 하지만 조로증(早老症)이라는 불치병에 걸려 신체나이는 80세에 이른, 죽음을 앞둔 소년 한아름이 화자로서 이야기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 그 소년이 한때의 청춘의 열기를 이겨내지 못하고 자신을 낳은 어수룩한 부모의 옛이야기를 상상한다. 부모보다 더 어른스러운 자식, 자식보다 더 철없는 부모라는 구도는 이제 김애란의 표장(標章)이라고 할 정도로 그녀가 가장 능란하게 다루는 전매특허다. 거기에 더해 가족 삼각형의 도식을 유머러스하게 비틀고 ‘나’의 기원을 긍정적인 환상으로 복원함으로써 자아의 상처를 다스리는 태도까지. 이 모든 특징들이 김애란 소설에서 일관되게 보이는 일종의 근본 태도라는 점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어딘지 석연치가 않다. 이번 장편에서도 이전의 단편소설들을 관류하는 주제의식이 연속되고 그 형상화 방식이 반복된다고 하기에는 무언가 부족하다는 인상이 가시지 않는 것이다. 표면적으로는 서사의 구도와 특징 그리고 1인칭 화자의 유머러스한 태도까지 모든 것이 건재하지만, 김애란 소설이 거느리고 있던 정념의 질감이 근본적인 층위에서 달라진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어떻게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