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평론 

 

공감과 연대—21세기, 소설의 운명

 

 

김영찬 金永贊

문학평론가, 계명대 한국어문학과 교수. 저서로 『근대의 불안과 모더니즘』 『비평극장의 유령들』 『비평의 우울』 등이 있음. youngcritic@kmu.ac.kr

 

 

1. 이토록 이상한, 르네쌍스

 

한국소설은 목하 성황중이다. 이른바 ‘장편의 시대’에 걸맞게 장편 연재지면은 다양한 종류의 인터넷 공간과 문예지 등을 중심으로 유례없이 확장되었고, 그에 힘입어 예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수의 장편소설이 쏟아져나오고 있다. 그리고 해를 거듭하면서 작품들의 수준도 세간의 우려를 불식하며 조금씩 상향조정되고 있는 듯 보인다. 신경숙(申京淑)의 『엄마를 부탁해』(창비 2008)와 공지영(孔枝泳)의 『도가니』(창비 2009), 김애란(金愛爛)의 『두근두근 내 인생』(창비 2011) 등 시장에서 화제를 모으며 꾸준히 선전하고 있는 작품들도 어렵지 않게 눈에 띈다. 이쯤 되면 장편소설의 르네쌍스라 일컬어도 과히 틀리지 않을 듯하다,라고 말하려는 참에, 평론가 김형중(金亨中)의 고약한 목소리가 끼어든다. “르네상스치고는 참 이상한 르네상스다.”1)

이상한 르네쌍스? 한국소설이 창조적 갱신의 흔적 없이 고만고만한 작품들을 쏟아내놓으면서 기진맥진해 있는 것이 저 르네쌍스의 정체라는 속내겠다. 거기에 덧붙인다면, 지금 한국소설이 구가하는 ‘이상한 르네쌍스’의 물결이 불러온 의도치 않은 효과는 그것이 밑으로 가라앉아 잘 보(이)지 않았던 무언가를 수면 위로 띄워올려 노출시키고 있다는 데 있다. 그 무언가란, 바로 작금의 한국소설이 안고 있는 모종의 결여다. 지금 한국소설은 그 결여를 안은 채 이토록 이상한, 어둠의 르네쌍스를 통과하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문학현실에 눈 돌리지 않는 정직한 눈을 가진 이라면, 외관상의 활기에 가려져 있는 그 어둠에 무심할 리 없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2000년대 문학이 제 사명을 다한 국면에서 새시대 문학의 도래는 지연되고 있는 와중의 지리멸렬이며, 한국소설이 이른바 ‘장편의 시대’에 제 몸을 맞춰가(야 하)는 과정에서 뒤늦게 발각되고 있는 빈곤과 고통스러운 성장 지체다. 물론 한편으로 몇몇 예외적 작품의 사례를 들어 이 어둠의 존재를 애써 부인해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우리가 눈 밝혀 보아야 하는 것은 몇몇 개별 작품의 예외적 선전(善戰)이 아니라 (어디서나 흔히 그래왔듯) 그것이 가려버리기 쉬운 집단적 현상의 진실이다.

어찌 보면 앞서 지적한 문제는 한국소설이 제 갈 길을 가는 가운데 겪을 수밖에 없는 당연한 일시적 현상으로 비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면 그런 듯 보이기도 하지만, 과연 그렇기만 한 것인가? 물론 그렇지 않다. 더 깊이 따져보면 그 현상들은 실은 지금 한국소설이 안고 있는 근원의 문제가 특정한 정세적 국면을 맞아 겉으로 노출되는 하나의 증상일 뿐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정작 저 어둠을 껴안고 새겨보아야 할 물음은 대략 이런 것일 터다. 이것은 혹 시대적 변화와 외부적 환경의 악화가 문학에 덧씌워놓은 혹은 시간이 흐르면 저절로 걷힐 과도기적 어둠 따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깊은 차원에서 21세기 한국소설의 존재근거를 되묻기를 요구하는, 그런 어둠이 아닐 것인가?

이런 의문에 대해 어떤 이는 또 너무 앞서간 지나친 비관이라 질책할 수도 있겠다. 실제로 한기욱(韓基煜)은 현재의 한국문학에 대한 나와 김형중의 비평적 시선을 함께 문제삼으며 한국문학의 위기를 과장하고 장편소설의 장래를 지레 의심하는 암울하고도 비관적인 전망이라 비판한 바 있다.2) 그 글에서 그는 한국문학이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만만찮은 성과와 활력”(209면)을 보여주고 있음을 몇몇 작품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면서, 그것을 보지 못하고 한국문학의 가능성을 의심하는 두 비평가의 비평적 관점과 이론적 구도의 “허실”을 상세하고 친절하게 일러준다.

이 글에서는 한기욱의 비판이 갖는 문제점에 대해 세세히 짚어가면서 그에게 일침(一針)을 돌려세울 생각은 없다. 다만 현재의 한국문학을 읽기 위한 나의 이론적·문학사적 구도에 대한 그의 비판이 일종의 ‘덜 읽기’의 (무)의식적 욕망에 이끌리고 있다는 것만은 먼저 지적해둘 필요가 있겠다. 가령 한국문학의 현재에 대한 나의 ‘비관’을 타박하는 그의 논리가 우선 그렇다. 그에 따르면, 한국문학의 활력과 장편소설의 장래를 회의하는 나의 비관은 크게 보면 시대구분과 관련된 (그의 표현을 그대로 옮기자면) “단절론적 문학사 인식”과 “구조주의 문학관”(213면)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와 함께, 2000년대 문학의 성격으로 강조한 ‘탈내면의 상상력’의 특징에 부합되지 않는 작가와 작품 들을 “‘살아 있는’ 문학”의 목록에서 제외함으로써 “한국문학의 가용자산”을 쪼그라들게 만드는 나의 이론적 “자승자박”이 암울한 비관에 사로잡히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우선 여기에서 드러나는 나의 비평적 입장에 대한 곡해와 그 ‘허실’은 논외로 하더라도, 그는 현재 한국소설의 문제에 대한 나의 비관적 시선이 대체 무엇을 겨냥하고 있었는지를 보지 못하거나 아니면 애써 외면하는 것 같다. 여기서 불가불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문제의 진정한 진전이나 해결은 자화자찬의 낙관이 아니라 직시(直視)의 비관에서부터 힘겹게 시작되는 것이다.”3) 그런 측면에서 한국소설의 현재를 바라보는 나의 시선은 (데까르뜨를 빌리자면) 낙관의 실마리를 붙들기 위한 일종의 ‘의지적 비관’이며 ‘방법적 비관’이다. 그것은 곧 몇몇의 부분적인 성과(그 자체도 다시 따져봐야 할 테지만)를 근거로 “한국소설의 현재 자산은 한결 넉넉해진다”(228면)고 자족해버리기보다, 외면해선 안될 “우리시대 한국문학의 빈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