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조명 | 황정은 소설집 『파씨의 입문』 | 인터뷰
어딘지 무표정하고 갸우뚱하면서도 화가 날 만큼 슬픈
이장욱 李章旭
1968년 서울 출생. 1994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시집 『내 잠 속의 모래산』 『정오의 희망곡』 『생년월일』, 장편소설 『칼로의 유쾌한 악마들』, 소설집 『고백의 제왕』 출간.

ⓒ 송곳
이 사람, 만나보고 싶다.
그렇게 생각한 적이 있다. 낯을 가리고 그리 사교적이지 못한 내 성정으로는 드문 경우였다. 그게 「오뚝이와 지빠귀」의 앞 몇단락을 처음 읽었을 때였는지, 무표정하면서도 어딘지 갸우뚱한 그의 사진을 처음 보았을 때였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이야기를 나누고 싶고 그의 생각을 알고 싶고 교우관계와 세계관이 궁금하고…… 그런 것이 아니라, 그냥 이 사람하고 마주 앉아서 한 서너시간쯤 말똥말똥 얼굴이나 쳐다보았으면 좋겠다. 술 한잔이 곁에 있으면 더 좋겠지. 그런데 이 사람, 술 좋아할까? 그런 맹한 생각.
그러다 덜컥, 황정은을 만났다. 물론 첫 만남이었다. 그냥 말똥말똥 얼굴이나 쳐다보았어도 좋았겠지만, 그렇게 되지는 않았다. 황정은이 누구인가? 독특한 “애도와 증언의 소설”(복도훈), “근래의 한국소설이 도달한 가장 윤리적인 절망과 희망”(신형철), “사실주의를 초과하는 사실성”(한기욱)의 소설로 명명된, 그리하여 문학의 혁신과 문학의 정치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드문 텍스트의 작가가 아닌가.
다만 나는 이 모든 평들을 지우고 그를 마주하고 싶었다. 무엇보다도 나에게는, 희미하고 갸우뚱한 그의 인물들과, 그 인물들의 기기묘묘한 말들의 리듬과, 그 리듬 속에 배어 있는 슬픔들만이 오래 남았으므로. 약속장소인 인문까페 창비에 나타난 작가의 첫인상은 뭐랄까, 작고 노랗고 춥고…… 역시나 갸우뚱하다고밖에 할 수 없는, 그런데도 어딘지 알 수 없는 단단한 것이 저 안에 오밀조밀 채워져 있는 듯한, 그런 것이었다. 나는 애독자의 자리에서 몇가지 질문을 던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