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간 50주년을 기념하는 올해의 창비장편소설상에는 예년에 비해 한층 늘어난 총 395편의 작품이 응모되었다. 응모편수에 못지않게 작품마다 각자의 개별성을 지향하는 감각적 사유와 형식의 고민이 새겨져 있었기에 심사과정 역시 흔쾌한 긴장과 집중의 시간이었다. 그같은 지향과 고민이 실제로 단독성을 구축하는 지점까지 도달하기란 물론 드문 일이다. 역사물이나 판타지가 줄어든 대신 당대의 사회적 소재들이 넓은 스펙트럼으로 다루어졌고, 특히 최근의 ‘헬조선’ 논의를 되비추듯 극단적인 곤경과 그에 대한 병리적 혹은 이상심리적 반응을 그린 잔혹서사도 꽤 있었다. 관건은 그저 스토리를 이어가는 차원을 넘어 밀도있는 서사의 조성으로 옮겨갔는지 여부일 것이다. 이 차이를 거의 의식하지 않은 채 작위적이고도 평면적인 층위에 머문 작품들도 적지 않았다. 여기에는 이제 주류가 된 1인칭 서사에서 화자가 이야기의 단순 전달자로 기능한 사례가 많다는 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올해 응모작들이 더욱 뚜렷하게 보여준 세계와 현실을 향한 탐구와 대결의식은 장편소설 장르의 여전한 잠재성을 입증해준다.
본심에서는 다섯편의 작품이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오늘의 잠』은 세련되고 안정된 문장과 실제 인물에 토대를 둔 주인공 ‘맥레이디’의 형상화가 강점이었다. 고도성장의 신화가 피워낸 한떨기 꽃과도 같이 속물성과 자존감, 허위의식과 정당성이 기묘하게 뒤섞인 인물을 화자로 등장시키면서도 그 ‘신뢰 불